학술논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60
- 영문명
- An Effect of Mother's Child-Rearing Attitude on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of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복지상담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정
- 간행물 정보
- 『복지상담교육연구』제2권 제2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중지능 발달의 중요 시기인 유아의 다중지능과 어머니의 양육태도 간에 어떠한 관계
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의 다중지능 발달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
적을 두고자 한다. 연구문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다중지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와 어
머니의 양육태도가 갖는 유아의 다중지능에 대한 설명력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남 지
역 A유치원에 재원중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의 설문지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으며, 통
계처리는 SPSS WIN 12.0을 사용하였다. 유아 다중지능 검사 도구는 정대현과 지성애(2003)가 번안,
수정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KC-MIDAS(Korean Child-MIDAS)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어머니 양
육태도 검사 도구는 Schaefer(1959)의 어머니 행동 연구 도구(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척도를 김보영(2005)이 수정,보완 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와 유아의 다중지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
아의 다중지능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양육태도
가 유아의 전체 다중지능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
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의 설명력은 38.2%로 나타났다. 한편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유아의 음악지능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설명력을 갖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basic data of parents' education for the development of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by observing what kind of relation exists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hood that is an important time of multiple intelligence development and mother's rearing
attitude. Research problem was; What kind of relation exists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and What is an explanation power of mother's rearing attitude for
the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In this study, an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 by
selecting 160 mothers of children attending A kindergarten located at Gyeongnam region as research
subjects and for statistic processing, SPSS WIN 12.0 was used. As MI test tool for the children,
KC-MIDAS (Korean Child-MIDAS) scale that was adapted and modified by Cheong, Dae Hyeon and Ji,
Seong Ae (2003) and of which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by them was used and as test tool for
mother's rearing attitude, Matern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MBRI) of Schaefer (1959) that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Kim, Bo Young (2005) was used. First, as a result of performing simple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a relation between mother's rearing attitude and multiple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presented in such 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perform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order to explore how much effect mother's rearing
attitude would exert on overall MI of the children, explanation power of mother's rearing attitude was
represented to be 38.2%. On the other hand, it was revealed that mother's rearing attitude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xplanation power for the music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 심리상담전공 학부생 직무역량강화 방안: 외상인식기반 케어의 적용을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6권 목차
- Factors Asscociated with Non-Suicidal Self-Injury and Suicidal Behavior among Runaway Youth
- 북한이탈주민 지체장애인의 남한 사회로의 삶의 여정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1)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