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본의 중년기 여성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이용수 58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tress and Stress Reaction of Middle-Aged Women: Effects of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일본교육학회
- 저자명
- 강란혜
- 간행물 정보
- 『한국일본교육학연구』제13권 제1호, 127~15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년기 여성이 지각한 생활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 반응에 대한 사회적 지지
와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중년기 여성의 신체 및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스트레스
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효과를 파악하므로 중년여성의 스트레스를 예방하고 해소할 수 있
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동경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기 여성 281명이며 연구 도구는 일반
적 배경, 스트레스원, 사회적 지지, 스트레스 반응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ANOVA, Pearson의 상관관계,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분석하여 다
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가족스트레스는 평균 1.62로 ‘가끔 있다’ 정
도를 의미하였으며 이중 노부모문제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가장 높았으며, 사회적 지지 유
형에서는 정서적 지지를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스 반응은 스트레스원과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사회적 지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한편 가사노동은 스트레
스 반응의 하위 영역인 우울, 분노, 신체적 징후 모두에 가장 영향력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
다.
영문 초록
Women in their 40-59's who had, at least, one teen-aged children were
relatively often stressed about their children and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1 married women living in Tokyo. For data
handling, statistical data on percentage were obtained, and frequency analysis,
ANOVA,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tilized using the SAS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research presented that the average values on perceived stress,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 were about 1.62±0.48, 3.26±0.66 and 2.17±0.58,
respectively. The level of stress reaction and social support showed high level and
stressor showed low in general. Second, there were difference in stressor and
stress response among middle-aged women according to background variable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stress response over all the
field of stressor. But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upport and stress response. Fourth, Housework and Emotional Support had the
biggest influence on levels of depression among middle-aged married women. In
conclusion, Stressor and Social support were major influencing factor to Stress
Reaction in the middle aged wom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searchers should develop an integrated support program for middle-aged wome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일본의 중년기 여성 생활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반응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지지의 완충효과
- 일본 국가 교육과정 개정 절차에 관한 분석
- 일본의 학교선택제도에 관한 일 고찰
- 한국과 일본의 초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6학년을 중심으로 -
- 구카이의 종예종지원에 관한 연구
- 외국의 초등학교 방과후 보육 정책의 최근 동향 분석 -한국, 일본, 스웨덴을 중심으로-
- 일본 전통·문화교육의 교육과정과 지도 실제 -「동경 교육위원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omparative study of a practical subject and a leisure activity between Korea and Japan.
- 일본의 인정어린이원제도와 보육정책 동향에 관한 일 고찰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동료교사 및 부모-교사 협력관계와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계에서 공감능력의 매개효과
- 초등학교 예비교사의 주도적 태도, 공동체 주도성 및 주도적 행동 간 구조적 관계 분석
- 챗GPT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인식 연구: 영작 컨퍼런스 활용 사례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