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디자인전공 학생의 디자인 성취도에 대한 메타인지 기반 e-포트폴리오 구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이용수 75
- 영문명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a Metacognition-Based E-Portfolio on Design Majoring Students’Achievement in Design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조성근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63호, 139~15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9.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디자인전공 학생들이 취업에 필수적인 e-포트폴리오를 만들 때 메타인지에 기반한 구성 프로그램을 적용하면 디
자인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측에 착안하였다, 연구 목적은 디자인전공 학생의 메타인지
를 기반으로 한 e-포트폴리오 구성 프로그램이 디자인 성취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밝히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17년 4월 첫째 주부터 5월 마지막 주까지 8주 동안 충청북도 소재 K대학교 디자인학과 학생 4학년을 대상으로 선정하였
고, 학생들의 실험 전과 후에 디자인 성취도에 대한 측정을 하였으며, 메타인지 기반 e-포트폴리오 구성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2X(2) 혼합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의 평균 추세 그래프를 도출하
여 살펴 본 결과, 디자인 성취도의 모든 하위요인에 대한 사전점수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큰 차이가 없었으나, 사후점수
의 경우 실험집단의 디자인 성취도가 통제집단보다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을 보아 메타인지 기반 e-포트폴리오 구성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디자인전공 학생의 메타인지를 기반으로 하는 e-포트폴리오 구성 프로그램
이 디자인 성취도를 높이는데 기여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expectation that when making an e-portfolio,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design majoring students to apply for a job, a metacognition-based configuration program will help
produce greater achievement in design.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what effects a metacognition-based
e-portfolio configuration program would have on design majoring students’ achievement in design. To that
end, an experiment was conducted on the fourth-yea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Design at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buk-do for eight weeks from the first week in April to the last week in May, 2017.
The students’ achievement in design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and
a 2 x (2) mixed variable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metacognition-based e-portfolio
configuration program. Based on the pre- and post-tests conducted o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average trend graphs were created. The graphs displayed no apparent difference in the pre-test
scores of all sub-factors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but a large difference in
the post-test score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showing a considerable improvement in the students’
achievement in design. This suggests the effectiveness of a metacognition-based e-portfolio configuration
program.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a metacognition-based e-portfolio configuration program contributes
to enhancing design-majoring students’ achievement in desig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미술교육을 위한 사회정서학습(SEL)의 개념과 함의
- STEAM 교육 기반의 환경미술 교육이 유아의 창의적 그림 표현력 및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 미술교육 연계 봉사학습의 현황 조사 연구: 서울시와 경기도의 예술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문화·예술 분야 학생설계전공(Student-Designed Major)이 문화·예술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 디자인전공 학생의 디자인 성취도에 대한 메타인지 기반 e-포트폴리오 구성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쟁점 분석을 통한 미술교육에의 시사점 도출
- 미술과와 사회과의 통합수업이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중학교 2학년 광고디자인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한국서비스디자인학회 2025년 춘계학술대회 목차
- 요식업 점주의 컨텍스트 정보 수집 및 예측을 통한 매장관리 서비스 - 배달 플랫폼을 중심으로
- AI를 통한 캐릭터 생성에 필요한 캐릭터의 Uniqueness 요소 분석에 관한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