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 미적 체험 활동이 어린이들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4
- 영문명
- The Effects of Special Aesthetic Activities on Cultivating Students’ Creativity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Insun KUK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50호, 167~19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1.0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 미적 체험 활동을 바탕으로 한 미술, 문학 및 음악 과목을
융합한 통합 수업을 활용함으로써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창의성 개발이라는 교육
의 가치를 고찰하였다.
그것으로 특수 미적 체험을 통한 통합수업을 연구 기간 동안 실제로 전개하
였으며 아동들의 연구 전·후의 표현 결과, 비교 분석과 수업 전개 후 지도 한 결과
분석 및 인터뷰로 알아 본 아동들의 인식 변화를 통하여 연구를 검증하고 평가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수 미적 체험 활동을 통해 자신들이 그리는 환경이나 세계와
대화하고 그 표현을 통해 아동들의 사고는 확장 되어 가고 고정관념에 의한 편향
성에서도 많이 벗어나는 등 자기표현이 향상되어지고 미적 정보를 수집하고 탐색
하는 능동적 사고 활동으로 이어져 창의적인 표현 활동으로 전개되었다.
둘째, 특수 미적 체험 활동을 통한 실제감 속에서 이미지가 형성되면서 자신
만의 독창적인 표현을 바탕으로 개성적인 표현 및 생각과 느낌을 표현하게 함으로
써 창의적인 표현 능력이 신장 되었다.
셋째, 자기의 미적 체험을 그림으로 표현하면서 자기 내면의 표현은 물론 나
아가 심상의 세계와 창의적인 사고의 신장으로 집중력과 학습에 흥미를 얻어 다른
교과 능력 향상 및 학교생활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본 연구에서와 같이 학생들은 미술, 문학 및 음악 과목을 융합한 통합 수업
에 참여하며 특수 미적 체험 활동을 통한 표현, 감상 능력을 기르고, 심미적인 표현
의 기회를 늘리며, 생동감 넘치는 상상력 표현을 통해 창의성을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가를 배웠으며, 이러한 즐거운 활동들은 아동들에게 확고한 자신감과 기
대감을 만들어 주었다. 그 결과, 특수 미적 체험 활동은 미술시간에만 활용되는
일반적인 범주를 뛰어넘어, 어린이들의 창의성 향상과 정서함양에 대한 의미 뿐
아니라 , 창의성 향상에 관한 연구의 내재적 가치와 그 가능성을 열어 줄 것이다.
영문 초록
Recently, it seems that importance of creativity is more emphasized in general educ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creativity is core theme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There has
been research in and even out of the field of arts education that involvement in the arts
is associated with gains in cognitive ability, creative thinking. Therefore, developing
effective art lessons with special aesthetic activities for children’s creativity has been an
important role in arts education. In order to help children develop their creativity, we
must think how teachers can design effective activities in art lessons.
“Drawing with special aesthetic activities” is when the teacher provides a specific drawing
lesson combining music and literature for the students so they can create their own ideas and
therefore advance their creativity. Art education has been theorized as a way for children to
develop their creative achievement. Yet,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conducted into arts
education to deliver original strategic and creative thinking, and examined how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through drawing with special aesthetic activities in arts class.
The research tool was the Test for Creative Thinking - Drawing Production (TCT-DP)
which was developed by Jellen and Urban. researcher selected a random sample to take
this test from a local intermediate school. This study introduced 176 students teachers’
creative classroom research using special aesthetic activities and explained how this
project was initiated, what was the process of the project and how special aesthetic
activities help students develop their creativit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special aesthetic activity is a way where this learning and creative functioning can take
place in large part because it provides the space for students and teachers to negotiate
what is important in arts education, and for them to pursue arts education in the way
real children do: as an educational and creative m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예비 초등교사의 실기 역량 강화를 위한 사실적 소조 수업 연구
- 미술교육에서 개념 기반 학습의 의의와 실천 방안
- 듀이의 경험학습이론에 기반한 공공디자인 미술교육 - 초등 수업 프로그램 구안 및 적용 가능성 탐색 -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