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활 속의 미술로서 시각문화에 기초한 미술교육과정 및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이용수 218
- 영문명
-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as Art in Life: Curriculum Framework and a Less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안혜리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25호, 319~33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1.0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curriculum framework and lesson models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CAE) as art in life. First, this study examines various developing concepts of visual culture and VCAE as a new paradigm of 21st century art education. Also, this study presents characteristics and framework of VCAE curriculum based upon Freed man (2003)'s recent work.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VCAE lesson model focusing on our personal, cultural identity shaped by visual culture such as objects in a memory hous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s a contemporary trend of art education in Western post modern societies, where visual culture is currently a hot issue for academic exploration in various disciplines. Although visual culture is a global phenomenon for its great influences upon our daily life, part of art education world in Korea has expressed their concern about and fear of implementing VCAE. It appears that this is due to their misunderstanding or narrow interpretations of VCAE. Therefore, this paper provides answers of the following questions: 1) What is the concept of visual culture and what is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visual culture from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 art education? 2) What is rationale of VCAE? What are the aims and pedagogy of visual culture? What are different approaches to VCAE? 3) What are characteristics and framework of VCAE curriculum? 4) What is a model for art lessons based on VCAE? After examining these questions thoroughly, we should have richer understanding in embracing and adopting VCAE.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교 학생들의 body painting 체험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 초등교사 양성기관의 미술과교육 교육과정 실태 조사
- 일제강점기의 《普通學校圖畵帖》 학년별 내용분석
- 생활 속의 미술로서 시각문화에 기초한 미술교육과정 및 수업모형에 관한 연구
- 러시아 사실주의 작가 일리아 레핀 예술의 혁명 이미지 분석
- 공예에서 공예 교육으로
- 미술교육에서 역동적 평가를 통한 학습자의 미술 중재학습경험 이해
- 산업디자인 분야 IT 특성화 전략으로서의 Web-3D 교육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 두 미술교사의 인지유형과 교수방식
- 중등 미술과 평가 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 중국의 유학파의 미술교육과 활동에 대한 연구
- 중등 미술 교원연수에 관한 인식 및 요구분석
- 한ㆍ중ㆍ북한의 색채교육 내용 비교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