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우리나라 傳統美術 鑑賞指導의 效率的 인 方法에 硏究
이용수 6
- 영문명
- A Study on Efficient Methods for the Appreciation of Korean Traditional Art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저자명
- 金正俊
- 간행물 정보
- 『조형교육』제12호, 125~14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1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transmission of our culture of one of the aims of education. Today, it is very natural that Korea emphasizes the education with its own uniqu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its national pride. Especially, this is the age in which al countries are living in a smaller world and become similar to one another in their way of living, their way of behaviour and their way of thinking clue to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s.
In this global situation, it is far more important and significant that we should stress and educate our own valuable traditional culture for our students, From this viewpoint, our art education can not be an exception, either.
Looking baci our past educational reality, we can net help being sorry that our consciousness of national culture was once forgotten by the unilateral educ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nd after 8.15 Liberation, our traditional culture and art with deep national emotion have been baked down on by accepting the new educational trend and the foreign culture without any critical consciousness.
Recently, the criticism for our educational function has been strengthened and our national sense of pride has been greatly increased. As a result. of that the textbook of art education has included more interest in our traditional art. It is a very desirable trend for, if we can not transfer the splendid(sublime) spirit of our ancestors in our tradional culture to our students, the tragedy of extinction of our national spirit arid wisdom Will appear.
Of course, our tradional art has been formed through long years of national way of living and so it can not be applied to our present living situations word by word. However, without the emotiora a familiarity to our traditional art, it is meaningless that we restore our tradition in this modern culture and try to recreate a new national culture, And so we should admit the fallacy our traditional culture, and we should succeed in and develop the Korean 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2000년대 맞는 미술교사 교육의 현실과 전망
- 文化 敎育 저널 리뷰
- 國內의 美術敎育
- INSEA NEWS
- 圖書案內
- Children's Sensitivity to Expression of Emotion in Drawings
- 한국인 表現행위 기질과 藝術的 心性에 관한 硏究 (Ⅲ)
- 韓國精神 探究 展示리뷰
- 아동의 색채와 형태와 선호도 체계 분석
- 한국조형교육학회 집담회 보고
- 관련학회 學術發表-요약 및 발췌 中繼室
- 폴 클레 敎育的 스케치 북 ⑧
- 세계의 關聯자료 入手 - 近着外書
- 美術評檀 - '95 하반기 및 '96 상반기 미술계 결산
- “What Should I Draw Today?”
- 學術 / 藝術 - 紙上교육컬럼
- Color Adaptation for Color Deficient Learners
- 학령 전 아동의 명화감상과 정서추론에 관한 연구(Ⅰ)
- 그림이야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과 그림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 DBAE와 다문화 미술교육에 기초한 창의적 미술 프로그램 적용 연구
- 유치원과 초등학교 저학년의 미술교육 연계성에 관한 연구
- 海外의 美術敎育
- 우리나라 傳統美術 鑑賞指導의 效率的 인 方法에 硏究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미술분야 NEW
- AI 시대 창의성 향상을 위한 K-창의성 체험수업 연구 - 분청사기철화연당초문호의 미학적 공간 활용
- 생성형 AI·에듀테크 기반의 미술 수업이 중학교 소프트스킬에 미치는 효과
- 한국 미술·미술교육 분야에서의 질적 연구 - 역사와 그 특징들의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