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이용수 348
- 영문명
- Relationships between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영두,김갑숙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4권 제1호, 25~4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1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도와 전라도 지역에 소재하는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
인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 335명이다. 연구도구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척도, 자아탄력성 척도, 사회적 지지
척도, 대학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
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사회적 지지, 대학생활 적응과 부적인 상관
이 있으며,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는 대학생활 적응과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둘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
지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미술
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에 대처할 수 있는 매개자원인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를 향상시킴으로써
대학생활을 안정적으로 해 나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mediating effects on life
stress and adaption to university life i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Subjects comprised 335
students majoring in art therapy at universities in Gyeongsangdo and Jeollado Provinces. We used life stress
of university student scale, ego-resilience scale, social support scale, and adjustment to university life scale.
We used one-way analysis of variance(ANOVA), Scheffe-test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o analyze data.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tudent life stress of university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ego-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whereas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Second,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had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life stress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life. Based on the above results, we confirmed that students can better cope with life stress if ego-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are improved.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Bridge Drawing검사에 나타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 대학신입생을 중심으로 -
- LMT의 PDI 반응특성에 관한 연구
- 자기격려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기표현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 미술치료가 아토피피부염 환아의 불안과 소양감 및 병변의 중증도에 미치는 효과
- 학교폭력 감소와 예방을 위한 미술프로그램 개발
- 학대피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생애사 방법론으로써의 미술치료
-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및 우울 수준에 따른 ‘빗속의 사람(PITR)’그림 반응특성 연구
- 미술치료사 자기효능감에 대한 개념도 연구
- 한국 미술치료사의 현황과 전망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 미술치료의 치료요인 범주화 연구 - 수련감독 미술치료전문가를 대상으로 -
- 미술치료 전공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대학생활 적응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 학교폭력 미술치료 연구 동향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