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행동미술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859
- 영문명
- The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on Children with Problems of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and Social Skills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정대영,정창숙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4호, 1133~116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1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인지행동미술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대상은 9세 남아로 아동인성평정척도(KPRC)에서 문제행동을 나타내며 사회적 기
술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연구 대상 아동의 문제행동은 내면화문제와 외현화문제가 혼재된 양상을 보이고 있
다. 사회적 기술부족과 가족 간의 갈등으로 부모와 또래간의 관계형성이 원만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
도구는 아동청소년행동평가척도(K-CBCL)를 사용하였으며, 문제행동증후군 척도에서 문제행동의 수준변화를 살
펴보았다. K-SSRS와 KSD에서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여 사회적 기술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들을 토대로 K-CBCL에서 5개 하위요인에서 긍정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K-SSRS와 KSD 사전?사후
검사 결과 긍정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내면화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긍정적 변화를 가져왔다. 따라서 인지행동미술치료프로그램이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
제행동 감소와 사회적 기술의 긍정적 변화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whether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effects on children's emotional behavioral disorder risk. Subject was a 9-year-old boy who has
difficulty in social skills and shows behavioral problems in KPRC(The Korean Personality Rating Scale for
Children). The subject's problems stems from a mix of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problems. The subject
also shows the lack of relationship with peers and his parents because of insufficient social skills. Korean
Child Behavior Checklist(K-CBCL) was used to investigate the level of change of behavior problems. Pre-and
post-test of K-SSRS and KSD were conducted and examined for changes in social skill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is study showed a positive result in five sub-factors in the K-CBCL, and K-SSRS, and KSD
pre-post test results showed positive changes. According to the study behavioral disorder risk emotional
brought the positive changes in children's internalizing behavioral problems and social skills. Thus, the
study confirms that cognitive behavioral art therapy problem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changes in
emotional behavior disorders and reduce the risk of child behavior problems and poor social skill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인터넷중독 청소년의 대인관계와 인터넷중독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Winnicott의 대상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 척수장애 남성의 미술치료 활동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인지행동미술치료가 정서·행동장애 위험군 아동의 문제행동과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
- 미술치료전문가의 윤리적 딜레마와 실천행동 연구 - 근거이론 중심으로 -
- 초등학생의 공격성 선별도구로서의 얼굴자극그림검사(FSA) 타당화 연구
- 미술치료의 치료적 요인별 효과적인 미술매체에 관한 질적 연구: 전문가 인터뷰를 중심으로
- 집단미술치료가 중년기 여성의 자아분화와 정서적 위기감에 미치는 효과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업탄력성 및 희망, 유대감에 미치는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