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38
- 영문명
- The Effect of Group Art-Therapy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lcohol Dependence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이동주,조정자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8권 제1호, 107~12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1.0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Y시 소재 B정신병원 알코올 병동에 입원한 환자 중 1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집단미술치료를 1회 60분씩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자기효능감 검사, 대인관계 검사, K-HTP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사전검사 점수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 분석(ANCOVA)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의 자기효능감 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둘째, 실험집단의 대인관계 점수가 통제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셋째, 실험집단 5명을 대상으로 측정한 K-HTP 사전, 사후검사 결과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study inquired into the effect of group art-therapy on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of alcohol dependence. Study subjects are comprised of 7 members of treatment group and 7 members of control group from 14 members of the alcohol ward of B mental hospital located Y city. Treatment conducted total 16 sessions of group art-therapy, each lasting 60 minutes. The instrument used are self-efficacy Scale, interpersonal relationship Scale and K-HTP. Data analysis was used by statistical method ANCOV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elf-efficacy points of treatment group were effectively improv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Seco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points of treatment group were effectively improved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hird, The results of K-HTP pre- posttest on 5 members of treatment group showed positive changes. For such reasons, It showed that group art-therapy influenced positive effects on alcohol dependence self-efficac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Key Words : Alcohol Dependence, Group Art-Therapy, Self-Efficacy, Interpersonal Relationship'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자기애성 성격장애자의 문제행동 감소와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자기심리학적 미술치료 사례
- 집단미술치료가 알코올 의존 환자의 자기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만다라를 통한 감사교육 프로그램이 심리적 성장에 미치는 효과
- 아동의 동그라미 중심화에 나타나는 자연물 상징에 관한 신화와 종교적 관점에서의 의미
- 이야기 그림검사(Draw-a-Story)에 나타난여고생의 특성분노 및 분노표현양식
- 협동작업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효과
- 지지적 집단미술치료가 시민단체(NGO) 활동가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 모-자 활동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학교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동적가족화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 노인의 자살예방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