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82
- 영문명
- The Effects of Group Art-Therapy program o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 among Young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손정미,최선남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5권 제4호, 799~82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8.01.0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대상은 경남 S시에 위치한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만5세 유아 중 자아개념이 낮은 유아 총 14명(실험집단 7명, 통제집단 7명)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개념 증진을 위해 친밀감형성단계, 자아탐색단계, 자아발견단계, 자아수용단계, 적용단계의 총 5단계로, 1회당 60분으로, 주1~2회로 약 3개월에 걸쳐 20회 과정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는 자아개념 검사, 또래관계 검사 도구를 사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공분산 분석을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각 회기별 질적 분석을 함께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개념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들의 또래관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회기별 질적 분석과 행동관찰에서도 활동에 자신감을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였으며 높은 집중력으로 과제수행을 하였고, 또래와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나타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 of infants or young children. The study subjects are a total of fourteen 5-year kindergarten kids (sev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ven for the control group) from a kindergarten in S-city of Gyeongnam province, who showed low scores on self-concept. The program consisted of 20 sessions of group art therapy for three months, once or twice a week, each session lasting 60 minutes, with in mind five stages of intimacy, self-exploration, self-discovery, self-acceptance, and adaptation in order to enhance their self-concept. Measuring instruments include tests of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 employed for pre- and post-tests on covariance analysis with qualitative analysis within the session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concept of young children. Second,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young children's peer relations. Third, according to the sessional qualitative analysis and behavioral observation, group art therapy helped the children participate in activities with confidence, perform tasks with high concentration, and interact positively with peers. Consequently, it can be claimed that group art therapy works effectively on self-concept and peer relations of young children.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학생의 학교생활 스트레스와 학교생활화(KSD)반응특성과의 관계
- 뇌 병변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연구
- 한부모가족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또래관계 증진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
- 뇌 병변장애 아동의 주의집중력 향상과 대인관계 개선을 위한 미술치료 사례연구
- 미술치료관점에서 본 프란시스 베이컨의 인물화에 나타난 해체와 왜곡된 이미지에 관한 연구
- DAS를 적용한 아동의 우울특성 분석
- 집단 미술치료가 초등부 1학년 뇌성마비아동의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개념과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 집단미술치료가 노인의 자아통합감과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
- 뇌졸중 노인의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