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가 초임부의 분만심리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45
-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icture Diary on the Pregnant Warren's Thlivery Psychology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반주영,김동연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0권 제2호, 173~19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3.01.0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임부를 대상으로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를 실시하여 초임부의 분만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담자는 세 집단(대조군 Ⅰ, 대조군 Ⅱ, 실험군)으로 분류하고, 각 집단은 분만 불안이 높은 6명의 초임부로 구성하여 2002년 8월 4일부터 2002년 10월 15일까지 18회기에 걸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측정도구는 초임부의 상태불안, 분만자신감, 분만경험 지각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미술치료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이원혼합반복변량분석과 일원변량분석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는 초임부의 분만 불안 감소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신 32주와 임신 36주 사이의 상태불안이 실험집단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분만 후 상태불안은 대조군 Ⅰ, Ⅱ집단과 비교하여 감소하였다.
둘째,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는 초임부의 분만 자신감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는 초임부에게 정서적 지지와 자신감에 대한 인식과 감정을 표출하게 하고 불안을 감소시켜 분만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그림일기 형식의 미술치료는 초임부의 분만경험 지각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 후 분만경험 지각의 정도는 다른 대조군 Ⅰ, Ⅱ에 비해 아주 높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icture diary on the
pregnant women's delivery psycholog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control
group I, control groupII and experimental group). Each group consisted of six first
pregnant women who had high anxiety about delivery. We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n the state anxiety, confidence in delivery and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The program was given once in a week from August 4th 2002 to October 10th
2002 to the experimenW group. To analyze the results, two way mixed repeated measure
ANOV A and one-way ANOV A were used.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icture diar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delivery
anxiety. The state of anxiety during 32 weeks pregnant and 36 weeks pregnan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xperimental group. The state of anxiety after delivery was also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control group I and control group II.
Second,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icture diar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fidence in delivery. The art therapy in the fonn of picture diary changed confidence in
delivery positively by making pregnant women emotionally supported and express the
perception of confidence. Third, Lhe arL Lherapy in Lhe form of picture diary was effective in
increasing the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That result means art. therapy increased Lhe
confidence in delivery, helping pregnant women to express the worry about delivery before
childbirth, also positively increased the perception of delivery experience after childbirth.
Therefore the art therapy in the form of picture diary was effecLi ve in decreasing sLaLe
anxiety about, increasing the confidence in delivery and delivery experience perception of
pregnant women.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