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프리다 칼로와 케테 콜비츠의 회화에 나타난 아니무스에 관한 연구
이용수 168
- 영문명
- A Study on Animus Expressed in Pictures of Frida Cahlo and Kather Kollwitz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심상욱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8권 제2호,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1.01.0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Jung은 아니마가 모성적인 에로스에 해당한다면 아니무스는 부성적인 로고스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이부영(2001)은 에로스니 로고스니 하는 것은 단순히 개념적인 보조수단에 불과하고 무의식 측변에서 여성과 남성이 다른 면을 한 마디로 지적한다연 아니마는 기분(mood)을 아니무스는 의견(opinion)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이다. 페르조나가 원래 로고스적인 특성을 띠고 있는 남성의 아니마는 그것과 반대되는 에로스적인 특성을 지니고, 종종 비합리적인 감정으로 구성된 여성의 원시적인 이미지로 나타나며, 페르조나가 원래 에로스적인 특성을 딴 여성에게는 아니무스는 로고스적인 특성을 지닌다. 즉, 페르조나의 성과 심혼의 성이 반대인 것이다. 심혼에서 남성은 느끼고 여성은 숙고한다. 아니무스는 남성들의 원초적 상으로서 의견으로 이루어진 것이다(Jung, 1960).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visual images in paintings of Frida Cahlo and Kather Kollwitz with the concept of Animus in Jung. And it focused how their Animuses affected their works.
The results of Frida Cahlo are following :
First. Frida’s Animus are the Mexican public and the socialism that can help Mexico.
Second. when the Frida’s Animus was projected on man it performed the connection with Diego Rivera. But they divorced. for the function of negative Animus. Besides Diego’s Anima had the function which intercepted the relation with Frida.
Third. Frida’s Animus is the Archetype of healing which is recovering through creative works from the experience of trauma and the divorce. The masculine expressions in her portraits are intented outstanding. And these are the outflow of her animus image.
The results\' of Kather Kollwitz are following ;
First. Kollwitz’s Animus are the depressed and painful public. And \'AnimusOpinion\' is the sociaIism ideology. \'Black Anna\' is the symbol of practicaI Animus.
Second. Kollwitz’s negative Animus is the expression of Animus belonging to the women group at the age which Kollwitz lived.
Third. Kollwitz’s positive Animus in her late functions as religious, mother-natural, and Archetype of healing. Also, it appears the character of old wise-man closed to the Archetype of Self image It conclude that Frida Cahlo and. Kather Kollwitz were under the influence of Animus. And women\'s creations are influenced by Animu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집단미술치료가 자아수용에 미치는 효과
- MMPI에 나타난 약물남용 청소년의 성격 특성
- 가족경계와 가족적응 진단 척도로서의 동적가족화(KFD) 타당성 연구
- 저소득 및 결손가정 청소년들의 집단 미술치료를 통한 자기노출 사례
- 프리다 칼로와 케테 콜비츠의 회화에 나타난 아니무스에 관한 연구
- 꼴라쥬와 어셈블리지 기법이 정신지체학생의 소재 활용방법과 공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언어지도를 병행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학습장애아동의 부적응행동 사례연구
- 빈센트 반 고흐의 생애와 작품에 나타난 색채심리
- 이혼가정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미술치료 사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