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양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주의집중결함과 조음오류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92
- 영문명
- The Effects of Art Activity on Attention Deficit Behavior and Articulation Error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류정자,김동연,정옥란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3권 제1호, 153~180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6.01.0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언어장애의 유형 가운데서 가장 많은 출현을 보이는 것은 조음장애로서, ‘사과’를 ‘차과’로 발음하는 것과 같은 음의 대치와 왜곡, 생략 등의 오류 형태를 나타낸다 조음장애의 원인은 기능적 요인과 기질적 요인이 있으며, 기질적 요인이 없는 경우에는 개인적 요인으로서 아동의 지능과 성격, 사회경제적 지위, 언어유형 및 문화적 영향, 학엽성취도, 형제관계 등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은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이 지닌 특성과 매우 관련성을 지니고 있어 연구의 의의를 뒷받침해 주고 있다. 예컨대, 아동 및 부모의 성격과 조음장애와의 관련연구나 읽기 및 쓰기 능력과 조음장애와의 관련성 연구 등은 본 연구의 실행에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art activity has on artictulation error a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The specific problems which solutions are sought after are as follows.
Problem 1. What effect does art activity has on articulation error?
Problem 2. What effect does art activity has on attention deficit behavior?
To find a solution to the problem above.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a problem student
The subject of this case study was a grade 4 student. The subject showed a serious degree of articulation error in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est and Test of Language Development-Prima ry(TOLD-P) and a serious degress of attention deficit behavior in Drawing A Person Test and HTP Test.
To measure the degree of correction in articulation error. Picture Consonant Articulation: TCAT and test of language development-primary(TOLD-P) was used. CTPS-48 was used to measure the attention deficit behavior.
The art activity program was developed in consultation with the supervising professo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ubject and the uniqueness of art activity. The program was 42 sessions of 50 minute session in length The result and the concIusion is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art activity program had a tremendous collection effect on articulation error Second. attention deficit behavior decreased while the art activity program was administered.
Third. such correction effect was also seen in HTP and DAP
The results show that articulation error or attention deficit behavior in children can be corrected and treatment using art activity seems to be the best metho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양한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아동의 주의집중결함과 조음오류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부적응 행동개선에 미치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 동적가족화(KFD)에 묘사된 가족의 상호작용 및 역동성에 따른 가족응집성과 적응성의 차이
- 동그라미 중섬 부모-자녀 묘화를 통한 아동의 공격성 완화 효과
- 로르샤흐 테스트에 의한 알콜의존증 여성의 심리진단 : 편구식 스코링 시스템에 의거하여
- 동적가족화(KFD)에 의한 초등학생의 가족지각 연구
- 유치원 아동의 심리평가를 위한 난화게임(Squiggle-Drawing Game)의 유용성 연구
- 초중고생의 동적 가족화에 나타난 행위 비교 연구
- 동적가족화에 의한 아동우울의 판별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