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풍경구성법에 의한 미술치료가 주의집중 결함 과잉행동 아동의 수업일탈 및 대인회피행동 개선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05
- 영문명
- The Effects of LMT(Landscape Montage Techniquel as an Art Therapy on Improvement in Class Attendance and Avoidant Behavior of ADHD
- 발행기관
- 한국미술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동연,이근매,정금자
- 간행물 정보
- 『미술치료연구』제1권 제1호, 101~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94.01.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학교 장면의 부적용파 학습지체를 유밭하는 주의집중 결함 과잉행동(Attention Deficit
- Hyperactivity Disorder:ADHD)에 관한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ADHD 아동들은 지속적인 주의 집중의 장애로 학습수행에 있어서 산만하므로 그들의 지적 잠재력에 비해서 낮은 학업성적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Barkley는 이 장애의 또 다른 일연으로서는 사회적 행위를 조정하는 것과 규칙을 준수하는 행동이 부족하다고 주 장하는 동시에 심한 언어지체나 시각장애, 청각장애, 자폐증, 아동기정신병과는 관련이 없는 장애라고 보고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administered by LMT oriented art therapy to the subject who had avoidant
behavior and could not attend classes.
The procedures of the study involved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child’s status, and then proceeded to LMT oriented art therapy which was followed by collage, scribble story making, drawing, and so on, which was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to the subject.
In addition, each session had counseling with the child’s mother, since it was concluded
that domestic differences would give a trauma in the emotional aspect of the chil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ehavior problems which the child had in the initial session were not eliminated, but decreased to what extent the child could at least participate in a class without going around or running away from the classroom Second, the child's avoidant reaction was completely eliminate, so that he could get along with his peers and a1so have an interest in a stranger in the classroom, asking 'who is this ?' Third, nontheless, the child still had persistence to an object which could disturb his adaptation to the school. For an example, he had a strong persistence to a computer to an extent which he could not control his behavior.
As above, although a continuous treatments had been needed to child. it seemed to be concluded that the child’s class attendance and avoidant behavior were improved through LMT oriented art therapy.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