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이용수 345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Scale
- 발행기관
- 한국교육방법학회
- 저자명
- 정은이
- 간행물 정보
- 『교육방법연구』제27권 제3호, 401~42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8.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진로 역량 요인을 측정하는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를 개발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문헌 연구, 개방형 설문 후 질적 분석과 심층 면접 등의 예비 연구를 통해 79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먼저 서울과 충남 지역의 대학생 249명을 대상으로 1차 설문조사한 뒤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46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가 개발되었다. 이를 서울, 경기, 인천, 충남의 대학생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후,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요인구조를 확인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든 적합도 지수(TLI, CFI, RMSEA)가 수용적인 수준으로 나타나 구성타당도가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대학생 고용가능성 진단 검사와의 상관관계를 통해 공인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는 도전정신, 외국어 능력, 직무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긍정적 가치관 및 태도, 창의성, 리더십, 진로목표설정 및 준비, 문제해결능력 등 총 10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가 갖는 의의 및 대학의 진로 교육에 주는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scale to find out the factors. For this purpose, I developed 79 preliminary items through literature review, open-ended surveys, and focus interviews. A main survey was administered to 249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Chungnam areas, and then I conducted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is resulted in a scale consisting of 46 items. Next, this scale was administered to 293 college students in Seoul, Gyeonggi, and Chungnam areas and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s from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good construct validity with acceptable fit indices. Also, good concurrent validity was shown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is newly developed scale and employability sca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college students’ career competencies scale was composed of ten factors including challenge spirit, foreign language ability, work competency, 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positive value and attitude, creativity, leadership, career goal set-up and preparation, problem-solving capabilit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wer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이버대학 교수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탐색
- 대학생 역량진단 도구의 성별과 학년에 따른 구인동등성 검증 및 잠재평균분석
- DINA 모형을 통한 피험자 능력 추정의 정확성 연구: MCMC와 MMLE/EM 알고리듬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학생 진로 역량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창의ㆍ융합 교육을 위한 수업설계원리 개발
- 스마트 러닝 기반 전자교과서의 효과적인 활용을 통한 사교육비 절감 방안 연구
- 학교에서의 액션러닝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 현지 거점센터 예비반 출신의 중국인 유학생과 일반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능력, 유학 후 계획, 대학 선택 동기, 교육서비스 만족도에 대한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Auditory Training in Children Wearing Hearing Aids and/or Cochlear Implants: A Scoping Review Mapping the Diversity of Intervention Types and Outcome Measures
- The Effect of an Aging Population on Hearing Loss
- Characteristics of Verb Retrieval According to Hoehn and Yahr Stage in Idiopathic Parkinson's Disease Patient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