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막외강(硬膜外腔)에 주입(注入)한 생리식염수(生理食鹽水)가 뇌척수액압(腦脊髓液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이용수 0
- 영문명
-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Changes Following the Injection of Saline into the Epidural Space
- 발행기관
- 대한생리학회
- 저자명
- 전재규(Jeon, Jae-Kyu) 이석강(Lee, Suck-Kang) 주영은(Choo, Young-Eun)
- 간행물 정보
- 『대한생리학회지』제11권 제1호, 21~2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77.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Many cases have been reported that a post spinal headache can be relieved immediately by an epidural injection of saline; and autologous blood also has recently been used successfully instead of saline. The changes of th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in 40 cases were observed in the present study in support of the concept; that a continuous leakage in association with hypovolemia and hypotension of the cerebrospinal fluid is the primary cause of a post spinal headache. Subarachnoid pressure increased immediately with saline injection into the lumber epidural space.
A spinal needle was inserted into the subarachnoid space at the level of L2~3 and opening pressure of the cerebrospinal fluid was read. An epidural Tuohy needle was insertad at the L3~4 and 25m1 of saline was injected into the epidural space and th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was read in the sitting position.
Sitting Position
Mean pressure after injection 555±(110.9)mm H2O,
Pressure rise rise (%) 51.3%,
Mean opening pressure 366±(52.2)mm H2O,
Lateral position:
Mean pressure after injection 308±(70.8)mm H2O,
Pressure(%) 86.7%,
Mean opening pressure 165±(42.6)mm H2O.
These pressure changes responded almost simultaneously as saline was injected. This pressure rise of 51.3% in the sitting position and 86.7% in the lateral position are clinically very significant. Therefore, it is most possible that the immediate relieve of post, spinal headache by injection of fluid into the epidural space is simultaneous with the increase of the cerebrospinal fluid pressur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흰생쥐에 있어서 성장기의 신체훈련이 신체발육 및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 흰쥐의 위궤양 발생에 미치는 대상회전 제거 및 미주신경 절단의 영향
- Pilocarpine이 토끼 적혈구막의 NaK ATPase의 활성도에 대한 작용
- 경막외강(硬膜外腔)에 주입(注入)한 생리식염수(生理食鹽水)가 뇌척수액압(腦脊髓液壓)에 미치는 영향(影響)
- 감나무의 Ethanol 추출액(抽出液)이 척출가토(剔出家兎) 장관운동(腸管運動)에 미치는 영향(影響)
- Anthraquinone이 토끼 적혈주막의 NaK ATPase웨 활성도에 대한 작용
- 한국인의 Aldosterone 대사 제거율에 미치는 Na 섭취제한, K 보충투여 및 이뇨의 영향
- 가축과 실험동물의 생리자료(11)-7 - 제11장 토끼(The Rabbit)-7 -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Analyzing the Mediating Role of Lifestyle for Successful Aging Post-Retirement
- 노인의 사회적 고립 완화를 위해 중재한 무작위 대조군 실험 연구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상지로봇치료와 거울치료를 병행한 상지로봇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손목의 기능적 움직임 향상에 미치는 차이: A Pilot Study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