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S-IADL)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이용수 205
- 영문명
-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S-IADL)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구형모 김지혜 권의정 김성환 이형석 고혜정 안상미 김도관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3권 제2호, 189~19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S-IADL) was developed to assess elderly person’s instrumental everyday activiti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standardized IADL assessment scale and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IADL.
Methods:The 336 controls were included in standardization stud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IADL were tested by 72 Alzheimer’s disease patients and 72 controls matched to age, sex, and education. We also conducted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curve fo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S-IADL.
Results:Because of positively skewed distribution of S-IADL, standardization data were presented using 1SD and 2SD value. Internal consistenc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rater reliabil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incipal axis factoring analysis revealed two factors that accounted for 59.95% of the total variance, and second factor was items sensitive to sex
(3.preparing food/cooking, 4.household chores). S-IADL was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other standardized cognitive measures, demonstrating good convergent validity. With a cut-off point of 8, the S-IADL had a sensitivity of 83.3% and specificity of 93.1% in the diagnosis of dementia. Also, with a 2SD standardized data, sensitivity was 81.9% and specificity was 93.1%.
Conclusion:Our study showed that the S-IADL could be a reliable and valid tool for the assessment of functional disabilities of Korean dementia patients. Particularly, S-IADL had higher sensitivity and specificity than other IADL instruments, suggesting that it is useful to early detection of dementia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번의 심각한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의 발달정신병리
- 대한민국 법령에 나타난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 조항 및 그 개선에 관한 연구
- 우울 증상과 성별에 따른 신체화 환자의 인지적 특성
- 영문초록 교정 소감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도파민 운반체 유전자의 10-Repeat Allele Homozygosity와 [123I]IPT SPECT로 측정한 도파민 운반체 밀도가 Methylphenidate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거주 불법신분 조선족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세로토닌 수송체 조절부위 다형태와 청소년 재소자들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의 연합연구
- 치매 선별용 정보 제공자 보고형 설문지
- 지역사회 기혼 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가족내 관계 만족 변인 및 갈등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
- 알코올성 케톤산증 환자에서 보이는 대뇌 기저핵 손상
- 정신분열병에서 어의처리 과제 수행에 따른 뇌활성화 양상의 특성
-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S-IADL)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의학통계학적 방법의 사용과 오류
- 지역사회에서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선별기준에 대한 연구
- 신경정신의학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및 계속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