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번의 심각한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의 발달정신병리
이용수 181
- 영문명
- Developmental Psychopathologies of Nine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Single, Severe Trauma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신의진 엄소용 최의겸 송원영 오경자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3권 제2호, 172~182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4.03.30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It has been known that children reved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fter experiencing traumas similar to adults. But there are a few studies regarding the psychopathologies of PTSD in preschool children. Considering more active brain and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preschool children, it is expected that trauma of preschool children causes more serious psychopathologies than those of children with older ages or adult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sychopathologies of 9 preschool children experiencing a single, severe trauma, specifically in the respect of PTSD diagnosis.
Methods:Nine preschool children, 3-5 years old, experiencing physical injuries caused by attack from a psychotic patient during lunch time at kindergarten, were evaluated for clinical diagnoses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using Kiddie-Schedule for Affective Disorders and Schizophrenia (K-SADS) and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RDC for Kiddies) of PTSD for preschool children.
Results:Five (56% by DSM-IV) and Six (67%, by RDC) out of 9 children were diagnosed as to have PTSD. Among those children with PTSD, four (44%) showed Separation Anxiety Disorder (SAD) and one (17%) showed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as comorbid diagnoses. On subclinical level, two of 9 children (22%) suffered from separation anxiety, seven (78%) from aggressive behaviors, and two (22%) from depressive mood. Sleep disturbances (89%) and reexperiencing of trauma (89%) were the most prominent symptoms of PTSD in preschool children.
Conclusion:While preschool children showed profiles of PTSD symptoms similar to those of adults, it was critical to use more developmentally sensitive diagnostic tools for a better detection of psychopathologies. Young children experiencing severe trauma showed other comorbid psychopathologies along with PTSD. For proper diagnosis and intervention, it is important to make an accurate clinical diagnosis based on developmentally appropriate diagnostic process and tools.
목차
서 론
연 구 방 법
결 과
논 의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번의 심각한 외상 경험을 한 학령 전기 아동의 발달정신병리
- 대한민국 법령에 나타난 정신질환에 대한 차별 조항 및 그 개선에 관한 연구
- 우울 증상과 성별에 따른 신체화 환자의 인지적 특성
- 영문초록 교정 소감
-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에서 도파민 운반체 유전자의 10-Repeat Allele Homozygosity와 [123I]IPT SPECT로 측정한 도파민 운반체 밀도가 Methylphenidate 치료 반응에 미치는 영향
- 한국거주 불법신분 조선족들의 정신건강 및 삶의 질에 대한 연구
- 세로토닌 수송체 조절부위 다형태와 청소년 재소자들의 충동성 및 공격성과의 연합연구
- 치매 선별용 정보 제공자 보고형 설문지
- 지역사회 기혼 여성의 우울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가족내 관계 만족 변인 및 갈등대처 방식을 중심으로 -
- 알코올성 케톤산증 환자에서 보이는 대뇌 기저핵 손상
- 정신분열병에서 어의처리 과제 수행에 따른 뇌활성화 양상의 특성
- 일상활동평가-복합(Seoul-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S-IADL)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의학통계학적 방법의 사용과 오류
- 지역사회에서의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선별기준에 대한 연구
- 신경정신의학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및 계속평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