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비행청소년들의 충동성과 뇌기능에 대한 연구
이용수 66
- 영문명
- A Study on Impulsivity and Brain Dysfunction in Criminal Adolescents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이현정 신윤오 안동현 홍성도 이원태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4권 제5호, 604~611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5.09.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Recently, the number of adolescent criminals hospitalized for evaluation or treatment of mental illness is increasing.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the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dolescent misconducts, based on their impulsivity.
Methods:Barrat’s impulsivity test was done to 64 adolescent criminals under age of 18 who were admitted to a Juvenile School between Oct. 1, 2003 and June 30, 2004. According to their recognizing impulsivity scores, the upper 30% group (high impulsivity group:HIG) and the lower 30% group (low impulsivity group:LIG) were selected.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on socio-demographic data, crime characteristics, psychiatric diagnoses, Evoked Potential Latency and Amplitude, Cognitron and IQ.
Results:1) The high impulsivity group had lower IQ than the low impulsivity group (p<0.01).
2) No difference was found in the seriousness of committed crimes, number of crimes and the age of first committed crimes. However, the high impulsivity group fended acting alone in committing crimes (p<0.05), and more frequently upeated same crimes (p<0.01).
3) Evoked potential latency was prolonged on FzN100 (p<0.05), CzN100 (p<0.05), PzN100 (p<0.01) and amplitude was
increased on FzN100 (p<0.05), CzN100 (p<0.05), PzN100 (p<0.05) in high impulsivity group.
4) High impulsivity group showed lower scores on NOCR (p<0.01), NOCYR (p<0.01), NOCNR (p<0.01) in Cognitron.
PzN100 (p<0.05) latency prolongation. CzN100 latency prolongation had positive correlation with PzN100 latency
prolongation (p<0.05).
5) While the misconduct was most common problem in both groups, more ADHD diagnosis was identified in the high
impulsivity group. The most frequent medical problem in low impulsivity group was with diseases of internal medicine (p< 0.01) and anxiety disorders (p<0.01).
Conclusion:The adolescent criminals with high impulsivity tend to have lower intelligence and commit crimes repeatedly.
They are frequently diagnosed to have ADHD. When they are compared to low impulsivity group, big differences are found in prolonged evoked potential latency and increased amplitude on N100. Hence, in the treatment and rehabilitative programs for them, considering these characteristics may be helpful
목차
서 론
연 구 방 법
결 과
고 찰
요 약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기초증상에 대한 연구
-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세가지 청각 자극“Oddball” 모형에 의한 사건관련전위 P3a와 P3b
- 당뇨병 환자의 우울증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및 건강 대조군과 비교
- 비행청소년들의 충동성과 뇌기능에 대한 연구
- 지난 4년간의 학회지“신경정신의학” 심사 평가보고
- 어느 농촌 지역 거주 노인에 대한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의 6년간 2회 주적 조사
- 장애 평가 후 5년 경과된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에 대한 연구
- 초경 시작 시기가 여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병의 경과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거주 저소득층 노인의 우울증상 유병률과 관련인자
- 신경정신의학 의 지향점에 관하여:독창성과 과학적 신뢰성
- 한국형 기분장애 질문지의 타당화 연구
- 과대산포가 존재하는 이항형 자료의 회귀분석방법
- 쉼터에 거주중인 가출 청소년의 정신건강상태와 가족인자
- 정신과 전문병원에서 적정 의료 인력의 추산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