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에서의 삶의 질:3년 추적 조사
이용수 114
- 영문명
- Quality of Life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Three Years Follow-Up Stud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민성길 전우택 엄진섭 유시은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9권 제1호, 104~113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of life (QoL)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n
society in the year 2007 for purposes of comparing it to their QoL in 2004 and identifying demographic
variables that influence QoL.
Methods We used the Korean version of WHOQoL-BREF to evaluate the QoL of 106 North Korean
defectors. Other instruments included a questionnaire for discerning demographic data, life experiences,
and physical health.
Results For last 3 years, more defectors had higher education, married, and higher income. However,
their unemployment numbers did not decrease, while their number of believers in a religion did
decrease. QoL scores remained low in the areas of negative feelings, financial resources, dependence
on treatment and drugs, recreation and leisure activities, and opportunities for new information and
skills, but were high in areas of cognitive mental functions, personal beliefs, work capacity, self-esteem,
and transportation. Path analysis suggested that the psychological domain influenced overall
QoL while other domains influenced overall QoL indirectly, through the psychological domain.
Since 2004, defectors’ QoL in the physical domain and in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transportation
had improved, while QoL with regard to pain and discomfort, mobility, and negative feelings
had worsened. Variables that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QoL included male sex, higher age,
being married, experiencing army service in North Korea, and shorter stays in third countries. In South
Korea, Qo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urrent physical illness but positively correlated to having
a family, a stable job, higher income, and someone to talk with.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fectors’ QoL would be improved by tailored services
according to their sex and age, focusing on educational programs to provide new information and
skills, support for building families, health services, and community support.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PTSD와 꾀병의 감별:면담방식과 전형적 증상에 대한 고찰
- 정신역동과 최면치료
- 정신분석적 정신치료에서 전이의 발생과 해결
- 서언 : 정신과 의사와 정신치료
- 정신분석의 역사-분석이론의 진화를 중심으로
- 역경 극복의 새로운 개념, 리질리언스(Resilience)의 평가 척도
- 암환자 우울증의 약물중재
- 암환자 수면 장애의 약물요법:체계적 문헌 고찰
- 암환자 섬망의 약물치료
- 암환자의 불안과 약물치료:근거중심적 고찰
- 통합적 성치료의 최신지견
-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들의 의식 및 생활만족도 7년 패널 연구
- 경증 외상성 뇌손상 환자의 성별에 따른 증상과 기억과 신경 심리검사의 비교
- 정신분석훈련과정의 경험
- 꿈의 의미 다루기
-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에서의 삶의 질:3년 추적 조사
- 저항의 발생과 대책
- 수련생이 필요로 하는 정신치료 감독
- 정신역동과 인지행동치료
- Quest in Jungian Psychology and Religion
- 암환자를 위한 정신약물요법의 개요
- 한국어판 DSM-IV 인격장애 구조화된 면담도구 개발:신뢰도 연구
- 정신역동과 안구운동 민감소실 및 재처리 요법
- 정서 중심적 부부 치료의 효과:예비 연구
- Editor’s Letter
- 여성정신장애인 자녀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
- 한국에서 정신치료 수련의 경험
- Images in Psychiatry
- 정신치료 지도감독의 의미와 종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