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새터민을 위한 PTSD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예비 연구
이용수 120
- 영문명
- Development of Group Therapy Program for North Korean Refugee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nd Pre-Study on Its Effect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최영미 오수성 이창인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49권 제2호, 248~255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0.03.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ZZWe evaluated the design, application, and preliminary effect of a new group therapy
program for assist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Methods We recruited 16 female participants from the student body of Hanawon (North Korean
refugees) or K city refugee residents, both governed by the Ministry of Unification. Of the participants,
11 scored more than 28 points, the cut-off score, on the MMPI-II PTSD Keane (PK) scale.
Another 5 females, who had been diagnosed with PTSD and received treatment, were included
in the study. We divided the participants into 2 groups, each of whom participated in group
therapy 10 times. Group (A) consisted of 8 Hanawon refugees, while the other group (B) consisted
of 8 refugee residents of K City. To examine the therapy’ s effects, we utilized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eck Anxiety Inventory, Self-esteem Scale, and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both
before and after treatment. We analyzed the results using paired t-tests and repeated measures.
Results Anxiety scores decreased significantly in group A after the group therapy (t=5.04,
p<.01 ; t=5.44, p<.01). In Group B,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on any scales
after the treatment.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n
any measures, but group A showed lower mean SES scores and higher mean BDI and BAI scores
than did group B.
Conclusion This was a preliminary application of this newly designed group therapy program
for aiding the psychological adapt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utilizing a small group of refugees
with PTSD. In spite of many shortcomings and poor results, we expect further refinement
and research of into treatment modalities despite this challenging developments.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Images in Psychiatry
- 한국의 정신보건에 대한 보건경제학적 접근
-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한 한국판 자기-자비척도의 타당화 연구
- 정신보건법의 입퇴원 규정 및 관련법 고찰
- 혼잣말 하고, 때때로 주위에 반응이 없는 21세 남자
- 화병 진단을 위한 증상의 판별
- 자기공명영상에서 뇌실주위 백질연화증을 보인 정신분열병 1예
- [123I]-Iomazenil SPECT를 이용한 공황장애 환자에서 대뇌 벤조다이아제핀 수용체 결합 이상
- 우리나라 정신보건법의 역사
-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에서 COMT 유전자내의 단일염기 다형성 분석
- 검지 - 약지 길이 비와 공감, 공격성, 성역할 정체감간의 관련성
- 새터민을 위한 PTSD 극복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예비 연구
- 한국판 토론토 마음챙김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 당뇨 유발 동물 모델에서 Leptin, Adiponectin, Adiponectin 수용체 mRNA 발현에 대한 항우울제의 영향
- 정신건강증진의 개념과 발전 방향
- 급성관상동맥증후군 환자에서 삶의 질 예측인자
- 정신과적 문제로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 중 자살기도자와 자살사망자의 임상특성 예비 비교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