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과에 내원한 다문화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징
이용수 21
- 영문명
-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in the Multi-Cultural Mental Health Clinic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김남희 송동호 김채옥 민성길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0권 제6호, 458~464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ZZThis study investigated changes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oreign patients receiving psychiatric treatment in a public mental hospital in Seoul over the last nine years.
Methods We compared th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a multi-cultural mental health (MCMH) clinic group of 49 foreign psychiatric patients, who had attended the newly opened special clinic for foreigners during the period August 2009-2010, with those of a general group of 71 foreign psychiatric patients, who had been treated in conventional ways during the period 2002-July 2009.
ResultsZZThe MCMH clinic group was characterized by voluntary attendances with the assistance of family, friends or supporting organizations. The pati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resided longer in Korea, to have Korean citizenship, to be young married immigrant women and to have children. They were also more able to communicate by themselves or with the support of bilingual interpreters and were more likely to receive outpatient-based treatment and to experience longer periods of treatment. In contrast, the general group was characterized by involuntary hospital attendances supported by the police or the embassies of their home countries, and patients received inpatient services. They were also discharged sooner to be sent back to their home countries. Depressive disorder, anxiety disorder, and adjustment disorder were more common in the MCMH clinic group, while schizophrenia, bipolar disorder and a past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were more common in general group. In the MCMH clinic group, those patients with Korean citizenship or permanent residency seemed to maintain consistent and stable treatment with a good prognosis.
Conclusion The findings from the specialized multi-cultural mental health clinic suggest that specialized setting for foreigners is more efficient in helping them, particularly for married immigrant women. This means that specialized systematic evaluation and treatment approach needs to be developed to provide culturally relevant mental health services for foreigners living in Korea.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신 중기 및 초기 소아기 간접 흡연 노출과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이 소아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 수학 문제가 떠올라 머리가 아프고 힘이 빠지는 고등학생
- 정신과에 내원한 다문화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징
- 치료력이 없는 초발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상 용적 변화
- 일 대학병원에서의 주요우울장애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병합 요법의 우울증상 개선 효과 : 1년 추적 연구
- 일 도시 지역 주민들의 우울증상과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보건심판위원회 계속입원치료 심사지침 평가
- Images in Psychiat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