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 대학병원에서의 주요우울장애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병합 요법의 우울증상 개선 효과 : 1년 추적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The Effects of Adjuvant Therapy of Atypical Antipsychotics on the Change of Clin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in a University Hospital : 1 Year Follow-Up Study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박형우 나철 민경준 한덕현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50권 제6호, 428~433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1.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s to assess the effects of adjuvant therapy of atypical antipsychotics on the change clinical symptom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ethods We conducted a chart review of patients, who visited a university hospital. Ninety seven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patients with adjuvant use of antipsychotics with antidepressants (AD+AAP ; n=32) and patients with only antidepressants (AD ; n=65). We compared and analyzed three clinical domains including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and sleep qualities between two groups. Depressive symptoms, Anxiety symptoms, and sleep pattern were evaluated by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s Anxiety Inventory (BAI), and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t baseline (first day of admission) and 1 year later.
ResultsZZDuring 1 year, the BDI scores of AD+AAP group has been greatly decreased, compared to AD group (F=5.87, p=0.02). In the comparison of patients with severe symptoms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BDI score >21),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hange of BDI score between AD+AAP and AD (F=4.14, p=0.04). After 1 yea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AI score change (F=0.51, p=0.47), PSQI score change (F=0.89, p=0.35) between two group. However, the duration of adjunctive therapy and the type of atypical antipsychotics would not impact the results.
Conclusion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adjuvant therapy of atypical antipsychotics would be effective on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severe major depressive disorder, compared to the treatment with antidepressants alone.
목차
서 론
방 법
결 과
고 찰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임신 중기 및 초기 소아기 간접 흡연 노출과 Glutathione S-Transferase 유전자 다형성이 소아행동발달에 미치는 영향
- 수학 문제가 떠올라 머리가 아프고 힘이 빠지는 고등학생
- 정신과에 내원한 다문화 환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임상적 특징
- 치료력이 없는 초발 정신분열병 환자의 시상 용적 변화
- 일 대학병원에서의 주요우울장애에서 비정형 항정신병약물 병합 요법의 우울증상 개선 효과 : 1년 추적 연구
- 일 도시 지역 주민들의 우울증상과 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 정신보건심판위원회 계속입원치료 심사지침 평가
- Images in Psychiatry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NEW
- 예술 매체를 활용한 국내 코칭 연구 동향: 2014년부터 2024년까지 국내 학술지 및 학위논문 중심으로
- 교사 지지가 진로 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 미결정의 매개효과
- 대학생 팀 스포츠 활동과 갈등관리 능력의 관계: 의사소통 능력의 매개 효과를 바탕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