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방안 연구
이용수 1,136
- 영문명
- A Study on Instructional Methods for Middle School Music Classes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박영주(YoungJoo Par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1호, 119~14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10.16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스마트 시대를 맞이하여, 수업체계의 스마트한 변화를 이끌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스마트폰 앱(App)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환경 조성에 그 목적을 둔다. 따라서 안드로이드 사용체제의 ‘Play 스토어’에 출시되어 있는 많은 스마트폰 앱들 중에 무료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음악관련 앱들을 조사하고 이들 중 중학교 음악교과 기악활동에 효율적으로 활용 가능한 스마트폰 앱들(산조 가야금, Real Guitar-기타, Real Drum-드럼세트, 드럼세트-Drum Solo HD, How to Play Recorder, 사물놀이 친구들, 노블오카리나 운지, Digital Ocarina, Ocarina)을 소개하였다. 또한 이러한 앱들을 탐색하여 중학교 기악 수업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학습내용과 방법, 그리고 수업 진행에 있어 유의점들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된 스마트폰 앱들과 이들의 활용 방안은 향후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에 효율적으로 적용됨은 물론 이를 계기로 음악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우수하고 다양한 교육용 스마트폰 앱들이 개발될 것을 기대한다.
영문 초록
Living in the 21 century smart era, the researcher provided suggestions to utilize the new paradigm of smart learning to create enriched educational environments for middle school music classes. The study focused on how middle school musical instrument classes might efficiently and easily use smart phone applications. First, the research investigated musical instruments that appeared in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and explored several applications found in Google Android’s ‘Play Store’. She then selected certain ones that were suitable for musical instrument classes : Sanjo Gayakum, Real Guitar-Guitar, Real Drum-Drum Set, Drum set-Drum Solo HD, How to Play Recorder, Samulnoli Friends, Nobleocarina, Digital Ocarina, and Ocarina. Finally, she provided music teachers with instruction methods needs to employ the selected applications in actual music classes.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applying these kinds of new instruction methods will result in successful classes and lead to the development of many new educational smart phone applications and upgrad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기악수업 방안
Ⅳ. 결과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음향생태학 관점에서 본 초등 음악교과의 방향 탐색
- 초등학생의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인식과 음악선호 조사 연구
- 싱가포르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국가교육노래 (NE Songs)의 의미와 학습 내용 연구
- 초등 5 · 6학년 음악 교과서의 노래 지도 접근 유형
- 음악교과에서의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 스마트폰 앱을 활용한 중학교 음악교과 수업방안 연구
- 장편영화 ‘디 아워스’(The Hours)의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에 나타나는 화면과 음악의 관계
- 『간추린 체르니 100 연습곡』의 교육적 의의와 개선방향
- 음악과 교육과정의 적용에 필요한 내용교수지식
- 초등교사의 음악교수역량 구성요소에 대한 연구
- 음악대학 개설 ‘피아노 중주’ 수업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 누리과정에서 유치원 교사가 지니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운영실태 및 현직교사교육에 대한 요구
- Arts PROPEL을 적용한 방과후학교 바이올린 수업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