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교원 임용시험에서의 음악교과 출제 경향 고찰
이용수 105
- 영문명
- A Study on the Tendency of Music Subject in Element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Examination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공학회
- 저자명
- 김서경(Seokyung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공학』제26호, 151~1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1.16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서양음악의 공통관습 어법의 ‘조성’(Tonality)은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 시대에도 여전히 음악청취의 보편적 원리로 적용되고 있다. 무조음악(Atonal music)이 실험된 후 100년 이상이 지난 지금까지도 ‘무조성’(Atonality) 음향에 대해 음악을 전공하는 학생들조차 여전히 거부반응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지만, 이에 대한 진지한 논의는 많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필자는 본 연구에서 음악의 청취과정에 대한 선 연구들을 살펴보며 무조음악 소통의 어려움의 원인을 유추해본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한국의 주요 음악대학들의 교육 커리큘럼을 살펴보고, 음악대학의 교육과정 고찰을 통해 여전히 무조음악 교육을 위한 체계적인 커리큘럼이 부재함을 확인하며, 20-21세기의 음악 교육에 대한 진지한 고민과 논의가 필요함을 피력한다. 무조음악의 ‘의미’있는 청취, ‘의미’있는 연주, ‘의미’있는 소통을 위해서 음악대학 교육 커리큘럼의 점검, 재고, 변화의 노력을 구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begins by Leonard B. Meyer s statement, music has meaning” in Emotion and Meaning in music. Music is used as form of communication of human-beings. For the study of the process of discovering meaning latent in music, I have reviewed cognitive researches on music perception. The problem of misleading musical meaning in atonal music is reasoned by the premise based on the tonal music perception. When we listen to diverse and complex music of twentieth-century, our perception s judgment comes from the cognitive progression of tonal music. For this reason, many student who don t have enough experience on atonal music have been a difficult situation when they listen to atonal music. In this respect, I try to suggest the proposal relating to our educational curriculum for atonal music in music colleges.
목차
Ⅰ. 서론
Ⅱ. 음악의 청취 과정 연구 고찰
Ⅲ. 음악대학 교육과정 점검 및 제안
Ⅳ.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데이터 과학 기반 한국어 쓰기 학습자의 AI 활용 태도 분석 방향 - 쓰기 과정에 따른 태도 척도 개발을 중심으로
-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한 비공식 한국어 학습 - 학습자의 동기 부여 변화에 초점을 맞춘 내러티브 탐구
- 비원어민 네팔 예비 한국어 교사의 수업 개선에 대한 실행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