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메지로의 변혁적 학습과 문화예술교육에서 뮤지컬 활용의 의의
이용수 410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Using Musical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 Viewpoint of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실(Hye-sil Kim)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6권 제3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메지로(Mezirow)의 변혁적 학습을 적용한 뮤지컬 활용 방안을 연구하여 문화예술교육에서 뮤지컬 교육의 의미와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한다. 메지로는 변혁적 학습의 창시자로서, 그의 철학은 사건이나 경험을 통해 개인이 가진 신념, 태도가 변하여 보다 긍정적인 방향으로 전환되는 학습으로 특징지어진다. 뮤지컬은 음악, 문학, 연극 등이 통합되어 변혁적 학습에서 의미관점의 전환요인인 경험, 비판적 성찰, 이성적 담론, 행동과 관계되는 학습활동이 됨으로써, 교육적 의미가 다양한 문화예술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혁적 학습과 연계된 뮤지컬 활용은 심리치료를 위한 도구적 의미, 전인교육을 위한 실천적 의미, 그리고 문화예술을 위한 통합적 의미가 있으며, 나아가 평생교육으로써 성인을 위한 문화예술교육 목표 실현을 위해 보다 적극적인 교육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by exploring the use of Musical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rom a viewpoint of Mezirow`s Transformative Learning. As Mezirow is called a initiator of Transformative Learning, his philosophy is characterized by the learning for transition through an event or experience that transforms an individual`s beliefs and attitudes into a more positive direction. Musicals can be an artistic educational method that has various educational meanings by integrating music, literature, and plays into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experiences, critical reflections, rational discourses, and actions, which are the transformation factors of meaning perspectives in Transformative Learning. Therefore, the use of musicals related to Transformative Learning has an instrumental meaning for psychotherapy, a practical meaning for the whole person education, and an integrated meaning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Furthermore, it also provides an educational implication that it can be a more active way for realizing educational goals on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adults as the lifelong education.
목차
Ⅰ.서론
Ⅱ.본론
1.메지로의 변혁적 학습의 목적과 의미관점의 전환요인
2.변혁적 학습과 관련된 뮤지컬 활용의 예
1)경험
2)비판적 성찰
3)이성적 담론
4)행동
3.변혁적 학습과 관련된 뮤지컬 활용의 의의
1)심리치료를 위한 도구적 의미
2)전인교육을 위한 실천적 의미
3)문화예술을 위한 통합적 의미
Ⅲ.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