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주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적 특성 및 경험 변인의 탐색: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이용수 186
- 영문명
-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Experiences on Performers` Stress: A Focus on Performance Anxiety and Learned Helplessnes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효식(Hyo Sik Choi) 신종호(Jong Ho Shin) 권수진(Soo Jin Kwon) 최예은(Ye Eun Choi) 연은모(Eun Mo Ye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2권 제4호, 235~262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연주경험의 특성들이 예비 음악창의인재의 내적 특성인 불안성향과 연주동기에 따라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 그리고 스트레스에까지 미치는 상이한 영향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서울 소재 예술중학교에 재학 중인252명의 음악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콩쿠르와 같은 경쟁적인 연주에 참가하여 입상한 경험이 많은 학생일수록 높은 내재적 동기를 가지고 있으며 낮은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개인의 불안성향은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뿐 아니라 삶의 스트레스까지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연주자의 내재적동기는 행동적 및 심리적인 연주불안을 모두 낮추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콩쿠르와 같은 경쟁적인 연주경험은 연주자의 행동적 및 심리적인 불안을 모두 낮추는 것으로 확인된반면, 비경쟁적인 연주경험은 행동적인 불안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에 미치는 개인적 특성을 밝히고, 연주경험이 이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연주자들의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는 실제적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음악교육에서 미래형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first, to examine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degree of anxiety, performance motivation) and performance experiences on music school students` stress through performance anxiety and learned helplessness, and second, to examine how these effects were mediated by one`s degree of anxiety, performance motivation and performance experiences. Based on data from a survey of 252 middle school participant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 among degree of anxiety, performance motivation, performance experiences, performance anxiety, learned helplessness and stress. As a result, students who experienced more successes in competitions showed more intrinsic motivation, less performance anxiety, and lower learned helplessness. Moreover, one`s degree of anxiety increased performance anxiety and stress while intrinsic motivation decreased bo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performance anxiety. Competitive performance experiences decreased both behavioral and psychological performance anxiety while uncompetitive performance experiences only led to decreases in behavioral performance anxiety. Results suggest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performance experiences are significant determinant of performance anxiety, learned helplessness and stres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detail.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개인 내적 특성
2. 연주경험
3. 학습된 무기력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콩쿠르 입상비율 상, 하 집단 간 차이 비교
2. 인과관계 분석
Ⅴ.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미적 체험 중심 고등학교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 실제에 대한 연구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분석
- 연주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적 특성 및 경험 변인의 탐색: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가 팔루셀리(S. Paluselli)의 계명창법 연구
- 대학 음악 전공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연주자신감의 상관관계
- 경도의 지적장애학생을 포함하는 통합음악수업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신입생의 음악교과 교양수업과 학업적응, 사회적응 및 정서적응의 관계
- 음대생들의 희망직업과 진로 자기효능감 조사
- 음악과 미술의 연계를 통한 대학 교양 수업 연구
- 스토리텔링 계명 익히기와 현악기 운지법의 통합을 적용한 음악교수법에 관한 연구
- 중등 가창 활동에서 표현력 향상을 위한 가사탐구 지도방안 연구
-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반성적 실천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