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 실제에 대한 연구
이용수 111
- 영문명
- A Study on Music Teaching Practices Based on Music Teaching Efficacy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최미영(Mi Young Choi) 정다은(Da Eun Jung)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2권 제4호, 209~2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11.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수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음악교수 실제가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실제 음악수업을 하고 있는 전국 초등학교 교사 235몀의 음악교수효능감점수를 기준으로 상, 하위 20% 집단을 추출한 후 다시 기초변인들을 유사하게 고려하여 각각 2명씩 총 4명의 교사를 선정하여 비참여관찰 및 면접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은 교사와 낮은 교사 간에 동기유발, 음악수업 활동 및 내용, 음악활동평가, 음악연수 참여 동기 및 음악연수의 현장 활용도, 학생과의 상호작용, 교수환경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음악에 대한 관심과 흥미 및 음악교육의 필요성에서는 음악교수효능감의 수준과는 상관없이 유사한 실제를 보였고, 교직 이후의 음악적 경험, 음악교육에 대한 동료교사, 학교행정가, 학부모의 인식에 대한 시각, 질 높은 학교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 바라는 점에서는 수준과 상관없이 차이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qualitative analysis on music education practices according to the level of music teaching efficacy. Among 235 elementary music teachers, upper and lower 20 percent teachers by the standard of scores of music teaching efficacy scale were chosen, then after considering basic variables, two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wo teachers with low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sampled. Four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and five times of non-participant observations per each music teacher were involved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with high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ose with low music teaching efficacy, with regard to music teaching,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teaching environment. Second, regardless of the level of music teaching efficacy, there were similarities to interest and importance in music and music education. Lastly, some differences were revealed in music experiences after schoolteaching, perspectives on the attitude of colleague, school administrator, and parents toward music education, and desire for high quality school music education regardless of music teaching efficacy`s level.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및 절차
Ⅲ. 연구결과 및 해석
1. 음악교수효능감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나타내는 부분
2. 음악교수효능감의 수준에 따른 차이로 볼 수 없는 부분
Ⅳ. 결론 및 논의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심미적 체험 중심 고등학교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 음악교수효능감 수준에 따른 음악교수 실제에 대한 연구
-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전래동요 분석
- 연주자의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내적 특성 및 경험 변인의 탐색: 연주불안과 학습된 무기력을 중심으로
- 음악교육가 팔루셀리(S. Paluselli)의 계명창법 연구
- 대학 음악 전공자들의 자기효능감과 연주자신감의 상관관계
- 경도의 지적장애학생을 포함하는 통합음악수업 프로그램 개발
- 대학 신입생의 음악교과 교양수업과 학업적응, 사회적응 및 정서적응의 관계
- 음대생들의 희망직업과 진로 자기효능감 조사
- 음악과 미술의 연계를 통한 대학 교양 수업 연구
- 스토리텔링 계명 익히기와 현악기 운지법의 통합을 적용한 음악교수법에 관한 연구
- 중등 가창 활동에서 표현력 향상을 위한 가사탐구 지도방안 연구
- 중등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반성적 실천 기반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