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각장애 음악전공자들의 회고를 바탕으로 한 음악 교수방법론 탐색
이용수 71
- 영문명
- Tools for Instruction: The Reflections of Music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미정(Mi Jung Kim) 박휴용(Hyu Yong Park)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2권 제3호, 151~18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시각장애를 가진 음악가 혹은 학생들이 음악을 가르치고 익히는 과정에 활용하는 네 가지의 교수수단, 즉 청각입력을 통한 암기, 구두지도, 촉각정보, 그리고 기술적 도구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본 논문은 시각장애인이 이러한 교수수단을 통해 음악을 익히는 과정을 매개(mediation), 숙달(mastery)과 전유(appropriation)의 개념적 틀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 네 가지 방법들이 매개수단(mediational means)으로써 음악을 배우고 익히는데 활용되고 있음을 논의하였다. 저자들은 참여연구를 통해서 서울의 한 맹학교 음악전공과에서 음악을 배우고 가르치는 9명의 음악(특수)교사와 7명의 시각장애 학생들의 수업을 관찰하고 인터뷰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인터뷰 및 관찰자료의 분석을 바탕으로, 시각장애 음악학생들이 시각을 통한 정보입력을 대신하는 다양한 매개적 수단을 통해 교사와 소통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청중 앞에서 공연할 때는 또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할 수밖에 없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논의를 통해서 시각장애 음악학생들을 위한 음악교육에 있어서 그들이 겪는 어려움을 이해함과 동시에 보다 효과적인 음악교육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가능성들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discusses the four tools of instruction for musicians with VI (henceforth, Visual Impairment): auditory input and memorization, verbal instruction, haptic sense and technical devices. Based on the concepts of mediation, mastery and appropriation, this paper highlights the fact that the four tools work as mediational means in learning and practicing music. To investigate this theme, the authors conducted, as participation research,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9 teachers and 7 students with VI at a specialized school for students with VI. By analyzing the interview data, this paper found that musicians with VI utilize various channels for communication, instead of visual input, as meditational means for communication. Meanwhile, musicians with VI also experience many difficulties in practicing and performing music in front of the audience. The discussion of this paper will expand our understanding on music training of those with VI and suggest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for helping musicians with VI.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Ⅲ. The Study
Ⅳ. Analysis and discussion
Ⅴ. Conclusive discuss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기초한 능동적 가창활동 방안
- 2009∼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음악과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움직임에 기초한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이 음악과목 학습부진아동의 음악성취도, 사회성발달,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각장애 음악전공자들의 회고를 바탕으로 한 음악 교수방법론 탐색
- 음악과 집중이수제의 실시와 폐지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 초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 음악극 봉장취 지도방안 연구
- 음악 교과에서의 인성 개념과 인성교육
- 문화 역량 제고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 및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음악수업 비평 양상
- 중학생의 음악흥미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의 중다매개효과
- 음악교육의 철학적 사고에 대한 최근 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