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이용수 305
- 영문명
- A Study on Program of Performance Evaluation in Music Class for Elementary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음악교육학회
- 저자명
- 권덕원(Doug Won Kwon)
- 간행물 정보
- 『음악교육연구』음악교육연구 제42권 제3호, 1~39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8.31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음악과 수행평가는 학생 스스로 음악을 구성하고 음악적 행동으로 나타내는 것을 통하여 학생의 지식이나 기술을 직접 평가하는 것을 중시한다. 학생이 음악 활동의 과정을 직접보여주는 수행평가는 보다 더 음악교육의 본질에 부합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수행평가의 본질적인 방향과 목적 및 특징을 음악교육 관점에서 고찰하고, 초등학교 음악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수행평가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 초등학교3~4학년을 중심으로 음악과 수행평가 프로그램의 방향과 내용 기준을 살펴보았으며, 음악과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의 유형 및 학습 영역에 따른 실제 사례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im and characteristics of performance evaluation from a viewpoint of music education, and to develop a practical evalu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s. Some features of a practical program were discussed, and the relationship of music curriculum between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nd various examples were provided. Generally speaking,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e process of student`s growing. However, performance evaluation has not been applied widely in schools due to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erformance evaluation, lack of evaluation programs, and burden of time and effort.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actical program of evaluation for elementary music classes. We expect this study to cotribute toward developing more programs those can be used for performance evaluation by music teachers without difficul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1. 수행평가의 이해
2. 음악과에서의 수행평가
Ⅲ. 초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 프로그램 개발
1. 음악과 수행평가 프로그램의 방향
2. 음악과 수행평가 프로그램의 내용 기준
3. 음악과 수행평가 유형 및 학습 형태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고든의 음악학습이론에 기초한 능동적 가창활동 방안
- 2009∼2013학년도 중등교사 임용시험 음악과 문항의 출제 경향 분석
- 움직임에 기초한 방과 후 학교 음악프로그램이 음악과목 학습부진아동의 음악성취도, 사회성발달,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시각장애 음악전공자들의 회고를 바탕으로 한 음악 교수방법론 탐색
- 음악과 집중이수제의 실시와 폐지에 관한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조사 연구
- 초등학교 음악과 수행평가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초등 음악극 봉장취 지도방안 연구
- 음악 교과에서의 인성 개념과 인성교육
- 문화 역량 제고를 위한 음악과 교육과정 개선 방안
- 소리 탐색활동에 기초한 음악경험이 만 2세반 영아의 음악 적성 및 음악적 성향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예비교사들의 음악수업 비평 양상
- 중학생의 음악흥미와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정서지능과 사회적 기술의 중다매개효과
- 음악교육의 철학적 사고에 대한 최근 경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