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一部 大學生의 靈因性 神經症
이용수 0
- 영문명
- Noogenic Neurosis in Some College Students in Korea
- 발행기관
- 대한신경정신의학회
- 저자명
- 申允五 高炳鶴
- 간행물 정보
- 『신경정신의학』제21권 제1호, 99~106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정신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1982.02.28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noogenic neurosis, named and hypothesized by Viktor E.
Frankl, the founder of logotherapy, in a student group of 181 college students in Dae-Jeon city. The
tools used were Beck’s depression inventory (BDI), the life purpose test (PIK) and the seeking of noetic
goal test (SONG).
The author tried to show the general trend of life purpose (meaning), and motive for seeking of
noetic goal, by gender, study major, and religion.
The analysed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roportion of students showing clear life purpose (meaning) and a strong motive for seeking
of noetic goal was 4.42%.
2. The conventional depressive neurosis was 21. 55%, among which 17.95% was noogenic neurosis
showing strong seeking of noetic goal in contrast to the conventional depressive neurosis. Both group
had uncertain life purpose. In broad sense, noogenic neurosis with strong seeking of noetic goal and
uncertain life purpose or meaning was 27.62% of all the subjects.
3. About 60.8% of the students were in a state of uncertain life purpose and weak or medium
motive for seeking of noetic goal, representing the existential abyss. Among this group of existential
abyss, 29. 09% were evaluated as depressive neurotic.
4. Among the depressive neurotic group, 82.05% showed uncertain life purpose and weak or medium
seeking of noetic goal.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factors (depression, life purpose apparancy,
and seeking of noetic goal intensity)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5. In regard of differences of gender, study major, and presence or absence of religion, male
students showed more strong motive for the seeking of noetic Goal, literature majoring students had
more apparent life purpose or meaning and less depression, and the students who had religion had
more apparent lile purpose.
목차
緖 論
硏究對象 및 方法
成 績
考 察
結 論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Lorazepam 남용 6례
- 자살기도자들에 관한 임상적 특징
- 韓國學生들의 손잡이 (Handedness) 에 대한 調査
- Nomifensine이 가토 혈중 주정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조울정신병 환자의 아동기 특징
- 人形劇의 治療的 利用에 관한 豫備的 硏究
- 韓國 正常成人의 大腦機能 側向化 — Dichotic Listening 檢查를 이 용하여 ᅳ
- 소아자살 및 자살기도
- 軍 神經精神科]I入院患者에 對한 統計的 考察
- 大學院課程學生 (또는 專攻醫) 選拔方案 一精神醫學分野를 中心으로ㅡ
- 진전섬망에 대한 임상적 연구
- 입원환자의 편집성증상에 관한 임상적 고찰
- 社會再適應評價尺度’ 제작 一方法論的 研究一
- 一部 大學生의 靈因性 神經症
- 청소년 비행과 가족관계
- 청소년의 자아개념에 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정신과학분야 BEST
- 청소년 도박 실태 및 치료방법 고찰
- 그림책을 활용한 집단놀이치료 프로그램과 경계선 지능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관한 사례연구
- 청소년 온라인 도박중독의 실태 및 지역사회 개입 방안을 위한 질적 탐색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