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 과정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용수 406
- 영문명
- A Study on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Training Course
- 발행기관
-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 저자명
- 최은정 권자영 하경희 황정우 문영주
- 간행물 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제41집, 27~5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3.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신건강복지법 개정과 더불어 지난 20년간 실시해온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과정에 대한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정신건강사회복지
사 1급(14명)과 2급(18명) 32명을 의도적 표집하여 총 5개의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5
개의 범주와 14개의 개념을 도출하였다. 첫 번째 범주인 ‘수련과제’에는 과제의 수, 심리
사회적 사정 틀의 의료모델화 등이 도출되었고, 두 번째 범주인 ‘수련생 처우’는 과도한
업무로 수련 충실성이 떨어짐이 도출되었다. 세 번째 범주인 ‘슈퍼비전’에는 슈퍼비전의
부족과 슈퍼바이저의 역량강화 필요성, 네 번째 범주인 ‘이론교육’에는 사육당하는 집합
교육과 환경 변화에 따른 이론교육의 필요성, 다섯 번째 범주인 ‘수련 관리’에는 부당함
을 해결할 창구의 필요성과 수련기관 관리의 필요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변화하는 정신건강 환경에 따른 정신건강사회복지사 수련과정의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conducted to find ways to improve the recent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law along with the past 20 year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 training process.
This study used purposive sampling to select 32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14 Level 1
and 16 Level 2 social workers), conducted five focus group interviews, and analyzed the
data using the constant comparison method to deduce five categories and 16 concept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number of projects in the first category ‘training
projects,’ and medical modelization of psychological assessment. The second category
‘treatment of supervises’ yielded concepts such as decreased commitment to training
education due to overwork, asking for insufficient pay. The third category ‘supervision’
yielded the lack of supervisions and the need for strengthening supervisors’ capabilities.
The fourth category ‘theoretical education’ showed the need for theoretical education that
is appropriate for group education and environmental change. The fifth category ‘training
management’ provided the need for a window for resolving unfairness and the need for
quality control of training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qualitative research,
this study provides for concrete measures and basic reference materials for improving the
training process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85권 목차
- The impact of multimorbidity on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The multiple additive moderating effects of nutritional status and cognitive function
- 노인의 자원봉사활동동기 및 가족건강성이 긍정노후인식에 미치는 영향 : 욕구충족도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