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점막하 구개열의 진단 - 증례보고
이용수 45
- 영문명
- Diagnosis of Submucous Cleft Palate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 발행기관
- 대한구순구개열학회
- 저자명
- 조은 이성화 김민규 이용빈 정휘동 정영수
- 간행물 정보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제19권 제1호, 25~30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일반외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Submucous cleft palate is diagnosed relatively later than overt cleft palate, because the signs of submucous cleft palate (i.e. bifid uvula, palatal muscle diastasis, bony notch, etc.) is not easily observed. Compared with oral inspection, speech assessments provide more conclusive information for diagnosis. However diagnosis is often delayed until the patient begins verbal communications and produces connected speech so that adequate speech sample can be obtained. And this delaying of diagnosis could result in development of abnormal speech behavior such as compensatory articulation.
However, using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can result in early diagnosis and decision for surgical approach than speech assessment in case of submucous cleft palate. This can be achieved even when the child can not produce connected speech, by indicating discontinuous levator veli palatini and attachment of the muscle bundles onto the hard palate.
In this case report, we present a 26 months old child who was diagnosed as submucous cleft palate using MRI and repaired by intravelar veloplasty.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증례보고
Ⅲ. 고찰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일반외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일반외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