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치조골 열개를 동반한 구순열 환자에서 상악 측절치 위치 변이
이용수 34
- 영문명
- Variations in positio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in cleft alveolus
- 발행기관
- 대한구순구개열학회
- 저자명
- 정주령 최윤정
- 간행물 정보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지』제19권 제1호, 11~17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일반외과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Alveolar bone graft allows a tooth adjacent to cleft alveolus to erupt. When the cleft is located distal to the lateral incisor, bone graft is performed for the canine; while it is necessary for the lateral incisor if the cleft is located mesial to the lateral inciso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positio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to the cleft and to decide appropriate timing for alveolar bone graft. Position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was evaluated for 139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cleft alveolus. Congenital missing of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was noted 40% (n = 55); distal position to the cleft, 46% (n = 64); mesial, 9% (n = 13); mesial and distal, 5% (n = 7). The maxillary lateral incisor was most commonly found distal to the cleft, which indicates the alveolar bone graft needs to be performed for eruption of the lateral incisor.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Ⅲ. 결과
Ⅳ. 고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일반외과학분야 BEST
- 결핵성 중이염 1예: 오랜 질병의 재발견
- 음성치료의 개요
- Electrophysiological biomarkers in neurodegenerative diseases: recent advances and clinical implications
의약학 > 일반외과학분야 NEW
- 대한구순구개열학회의 발자취
- 노년 환자의 일차 구개열 수술 후 임플란트를 이용한 오버덴쳐: 증례보고
- Prevalence and Three-Dimensional Craniofacial Characteristics of Microtia in Orthodontic Patients: A Retrospective CBCT Analysis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