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생애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문제적 미디어 사용: 사이버불링에 있어 분노조절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검증
이용수 102
- 영문명
- Life Stresses i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Media Use: The Role of Anger Management in Cyberbullying
- 발행기관
- 한국가족치료학회
- 저자명
- Jung Eun Kim,Norman B. Epstein,Jinhee Kim
- 간행물 정보
- 『가족과 가족치료(구 한국가족치료학회지)』가족과 가족치료 제25권 제2호, 227~24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6.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pplied a stress and coping model to understand one of the most frequent forms of
problematic media use among adolescents, cyberbullying. Methods: Using data from the Korean Youth
Panel Survey, the researchers found three major sources of stress for adolescents: parents (abusive behavior),
school (academic stress), and friends (bullying victimization); these were seen as predictors of cyberbullying.
The researchers also tested an important intra-personal factor, anger management, which could influence the
association between life stressors and adolescents’ bullying behavior. Anger management has not been
previously investigated in regards to gender differences. Potential mediation and moderation roles of poor
anger management were tested. Results: The three life stresso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yberbullying, and the links between all three and cyberbullying were mediated by adolescents’ poor anger
management. Gender differences were found in two paths in the model. Anger management problems were
not found to have a moderating role. Conclusions: Results were discussed in regards to the context and
cultural background of Korea. Implications for policy and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목차
I.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Hypotheses
Ⅳ. Method
Ⅴ. Results
Ⅵ. Discus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소년자녀 문제해결을 위한 부모상담 사례연구 - 부모폭력과 게임 과몰입 청소년자녀의 부모에 대한 구조적 가족치료 개입을 중심으로 -
- 남편과 아내의 애착손상 및 정서조절력이 부부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델을 활용하여 -
- 부부폭력가족에서 부모자녀친밀유형에 따른 아동학대의 차이
- 생애 스트레스와 청소년의 문제적 미디어 사용: 사이버불링에 있어 분노조절의 조절효과 및 매개효과 검증
- 부모의 과잉기대, 과잉간섭, 비일관적 양육방식과 청소년 우울과의 관계: 청소년 공격성의 매개효과
- 자살 유가족의 외상 대처 및 가족재구조화를 위한 위기개입 가족상담 - 위기개입모델 및 구조적 가족치료이론에 기반하여 -
- 부부의 마음챙김, 내외통제성이 부부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상대방 상호의존성 모형(APIM) 적용
- 절제술 받은 여성유방암 생존자의 부부적응에 대한 경험 연구
- 다문화가족상담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불안정 애착으로 인한 ‘관계외상’에 관한 협력적 자문화기술지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교류분석 독서치료 프로그램이 독거노인의 인생태도, 우울, 자아통합에 미치는 효과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고등학생의 상대적 행복감과 삶의 만족도: 스마트폰 의존 및 우울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