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서 인지 및 연하 기능과 일상생활 독립성
이용수 392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영진 홍재란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1~1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03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급성기 뇌경색 환자에게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기간은 2014년 2월부터 2014년 4월까지 12주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경색으로 진단 받
은 49명이였으며, 한국판 간이 정신상태 검사(MMSE-K), 미국언어청각협회 연하척도(ASHA)와 한
글판 수정바델지수(K-MBI)를 검사하여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지료는 SPSS for Window
(ver.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인지기능, 연하기능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사이
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중, 목욕하기, 식사하기, 대변조절, 보행/의자차,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p<.05). 또한, 연하 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중, 개인위생,
목욕하기, 식사하기, 용변처리, 대변조절, 소변조절, 보행/의자차 이동, 의자/침대 이동 항목에서 통
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p<.05)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급성기 뇌경색 환자의 기능 회복을 위해서는 인지기능과 연하기능이 일상생활활동 영역에 중요하다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및 제언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