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성인 뇌졸중환자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이 상지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9
- 영문명
- 발행기관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 저자명
- 김동우 김수진 서연정 오현석 박수정 김정기
- 간행물 정보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제10권 제2호, 1~1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12.03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성인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치료를 적용하여 상지운동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발병 후 1년 미만의 성인 뇌졸중 환자 9명 대상으로 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과제 지향적 훈
련에 참가하는 대상자군은 4가지의 선택적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선택적 과제 지향
적 활동 중재는 총 20회기로 4주간 실시되며 1주에 5회, 1회 30분간 과제 지향적 프로그램을 본인
이 선택하여 1주에 1가지씩 차례대로 수행하였고, 3명의 작업치료사에 의해 중재되었고 중재 전?후
대상자의 상지운동기능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효과는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Purdue
pegboard test, and Box and block test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 참여 후 상지 운동기능에 향상이 나타났다. 오
른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 모든 평가 항목에서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왼쪽 편마비 환자의
경우에는 Box and block test와 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의 먹기흉내 내기 항목에서만 의미
있는 변화가 나타났다(p>.05).
결론
선택적 과제 지향적 활동 프로그램은 성인 뇌졸중 환자의 상지운동기능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
며, 특히 상지 움직임에 효과가 있다. 따라서 과제중심의 운동프로그램이 효과적인 중재로 사용될
수 있으며 환자들의 적극적 참여를 만들어내는 재활치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평가도구
Ⅳ. 연구 결과
Ⅴ. 고 찰
Ⅵ.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원격 동작관찰 훈련이 지역사회 만성기 뇌졸중 환자의 상지 기능과 근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예비연구
- 노인을 대상으로 한 작업기반 중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 작업치료 분야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된 가상현실 기반 중재 연구에 관한 체계적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