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구고령화 심화에 대응하는 중국 정부의 전략
이용수 689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노년학연구회
- 저자명
- 김병철
- 간행물 정보
- 『한국노년학연구』제26권 제1호, 61~7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1.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중국의 인구고령화 현황과 이에 대응하는 중국 정부의 전략을 살펴본 글이다. 중국은 2015년
말 현재 65세 이상 인구가 전체 인구의 약 10.47%를 차지했으며, 2027년에는 14%를 차지해 고령사
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은 인구고령화 속도 및 이로 인한 파급효과가 지대하여 국가 차
원에서도 인구고령화 심화에 대비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인구고령화 심화에 대
한 국가적 고민은 중장기 발전계획 변화의 움직임에서 드러나고 있다. 제10차 5개년 계획 요강에 인
구고령화라는 용어가 최초로 언급되면서 인구고령화 대응의 서막을 알린 이후 제11차 5개년 규획 요
강에서 인구고령화가 독립된 절로 등장했고, 제12차 5개년 규획 요강에서 인구고령화 절의 설명이
상세해졌으며, 또 제13차 5개년 규획 요강에서는 인구고령화가 절에서 장으로 발전되었다. 이처럼 인
구고령화가 중장기 발전계획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됨에 따라, 인구고령화 대응방안도 ‘일반적
→구체적→연계적’ 대응단계로 발전해오고 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인구고령화의 심화
Ⅲ. 중국정부의 인구고령화 대응전략 변화
Ⅳ.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 사회복지의 법적 실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코로나19로 인한 일상생활의 변화가 코로나블루에 미치는 영향
- 한국과 미국의 사회복지 윤리강령 비교연구 : 비밀보장, 이중관계, 문화적 다양성, 결함이 있는 동료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자기수용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개념 형성과 확장 : 칼 로저스의 인본주의 성격 이론에 기초한 접근
- 사회복지상담과 불교철학의 융합 가능성 :이론·실천의 통합을 위한 개입 모형 제안
- 정신장애인을 위한 정신건강 증진접근의 개념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