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2기 교육학에 대한 Durkheim의 도전 음미
이용수 173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육원리학회
- 저자명
- 강태중
- 간행물 정보
- 『교육원리연구』제19권 제2호, 115~13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1.0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Durkheim이 ‘제2기 교육학’에 제기하는 문제를 검토한다. Durkheim은 제2기 교육학에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동시에 회의론을 제기하고 있다. 그의 이중적 관점과 주장을 빌미로 제2기 교육학이 안고 있을지 모를 문제를 검토한다. 크게 두 문제에 초점을 둔다. 하 나는 교육학의 대상이 되는 교육의 의미를 규정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분과학문으로서 교 육학의 영토를 구획하는 것이다. Durkheim은 교육의 사회적 속성을 불가결한 것으로 보며, 교육을 ‘사회적 사실’로 규정한 다. 반면 제2기 교육학에서는 교육을 사회적 속성을 탈피한 의미(‘교육적 사실’)로 정의하고 있다. 이런 입장 차이는 제2기 교육학에서 아직 충분히 정리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이 정리 는 제2기 교육학의 진전에 중요한 과제이다. 교육의 정의 문제에서 Durkheim의 도전을 해결하지 못하면, 논리적으로 제2기 교육학은 설 자리를 잃게 된다. 이 경우에 관련해서 제2기 교육학은 학문적 영토 문제를 적극적으로 검 토할 필요가 있다. 설사 ‘교육적 사실’과 ‘사회적 사실’이 중첩된다 하더라도, 교육학이 독립성 은 여전히 인정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사회학을 포함한 기존 여러 분과학문들의 분류와 영역 구획을 재검토하는 작업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영아반 교사의 직업에 대한 인식과 직업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유아인공지능교육 연구 동향분석
- 보육교사의 안전관리 역량 강화를 위한 플립러닝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