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용수 2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교원교육학회
- 저자명
- 윤종건
- 간행물 정보
- 『한국교원교육연구』제19권 제1호, 175~18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2.01.0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인들이 생각하는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변별법으로 알아보았다. 서울과 경기도 지역의 일반인 318명을 대상으로 수행된 이 연구는 장동환이 개발한 의미변별척도 가운데 평가영역 11개 형용사군과 역능영역 7개 형용사군을 활용하여 7간 척도로 변형하여 제작·활용했다.
연구결과는 1976년에 수행된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와도 비교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은 긍정적이다.
②이러한 결론은 성이나 직업에 상관없이 공통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다만, ‘교사’에 대한 평가와 역능, 그리고 ‘학생’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20대와 50대 이상이 30대와 40대에 비해서 다소 부정적인 생각을 지니고 있었다.
③교사집단이 자신들의 능력에 대해서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내고 있었다.
④2002년의 측정결과는 1976년의 측정결과와 매우 유사한 부분과 배치되는 부분이 공존한다. 즉, 2002년의 측정결과에서도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도덕적, 윤리적 차원에서의 평가가 역능에 대한 인식보다는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1976년에는 ‘학생’에 대한 한국인들의 인식과 기대가 ‘교사’나 ‘여선생’에 대한 그것보다 훨씬 높았으나, 2002년의 측정결과에서는 오히려 ‘교사’나 ‘여선생’에 대한 인식이나 기대가 ‘학생’에 대한 평가나 역능보다 긍정적이었다.
⑤한편, 1976년의 결과에서는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가 ‘교사’에 대한 이미지보다 한결 좋은 것으로 나타났었다. 그러나 2002년의 결과에서는 윤리·도덕적인 면에서는 ‘여선생’의 이미지가 더 좋았지만 역능에 대해서는 ‘교사’에 대한 것이 보다 긍정적이었다.(주제어-교사, 학생, 이미지, 의미변별법)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의미변별법과 선행연구
3. 연구의 방법과 절차
4. 결과
5. 요약 및 논의
6.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사교육의 반성과 대안 탐색 - 중등교원 양성을 중심으로-
- 프로젝트 활동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의 과학 및 과학교육에 대한 관점 변화
- 인문고 교사들의 사이버 장학에 대한 인식 연구
- 유치원교사 양성체제와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
- 교원자격제도의 개편방안 연구
- ‘중초교사’의 교직적응에 관한 연구
- 중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 한국 교원정책 50년사 데이터베이스 구축 연구
- 초등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 특수교사 양성체제의 발전방향
- 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한 교사양성체제의 발전방향
- ‘교사’, ‘학생’, ‘여선생’에 대한 이미지 분석 -수도권을 중심으로-
- 유아교사의 교직 윤리의식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