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의 창의성과 사회변화의 관계

이용수  252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박물관학회
저자명
박종만
간행물 정보
『박물관학보』제24호, 123~128쪽, 전체 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09년 제실박물관 설립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박물관들은 비약적으로 발전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2005년 10월 용산으로 이전 개관한 국립 중앙박물관과 2012년 12월 개관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을 필두로 2011년 현재 800개1)에 이르는 박물관의 양적 증가는 2001년 268개에 이르던 것과 비교하면 매우 가파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고 양적 증가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과거 단순한 유물전시, 보존, 조사 연구 등 박 물관의 일반적 기능과 역할에 충실했던 것과는 달리 오늘날에는 교육, 공연은 물론 독특한 테마와 문화체험이 넘쳐나는 문화공간이자 사회교육기관으로 진화하고 있다. 아울러 첨단 과학기술이 융합된 전시기법이나 지역별. 주제별 교류를 통한 박물관 개념의 확장 등은 미래 의 박물관이 복합 문화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라는 예측을 충분히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미 우리 박물관들은 이용객의 다양한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박물관에서 차와 식사를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음악, 무용공연을 즐길 수 있어 사회, 문화, 예술분야 의 여러 기능이 하나로 집결된 복합 문화공간이 되고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박물관의 현상은 사회적 변화와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기억+창의력 =사회적 변화” 이 제시된 등식을 단순하게 해석해보면 박물관의 기본기능에 창의성이 더해 짐으로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 낸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과연 이런 해석이 올 바른 것인지, 오히려 사회변화 혹은 외부 환경적 변화에 따라 박물관이 변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논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Museums(Memory+Creativity) = Social Change의 해석
Ⅲ. 박물관의 창의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종만. (2013).박물관의 창의성과 사회변화의 관계. 박물관학보, (24), 123-128

MLA

박종만. "박물관의 창의성과 사회변화의 관계." 박물관학보, .24(2013): 123-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