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마음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연장되어 있는가?:클락-찰머스 대 애덤스-아이자와 논쟁

이용수  59

영문명
발행기관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저자명
고인석
간행물 정보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학술대회지』2012년 추계학술대회, 38~50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1.0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98년 앤디 클락과 데이빗 찰머스가 함께 발표한 논문 “The Extended Mind”는 ‘연장된 마음’이라는 새로운 키워드를 철학의 주제어로 부상시켰고 일련의 새로운 논의를 촉발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그런데 이에 대해 프레드 애덤스와 켄 아이자와는 역시 공동으로 작업한 몇 편의 글(2001, 2005, 2008, 2009, 2010)을 통해 지속적으로 비판을 전개했다. 애덤스-아이자와의 비판은 최근 여러 논자에 의해 전개되고 있는 이른바 ‘두개골외부주의’(extracranialism) 혹은 ‘두개골너머주의’(transcranialism)를 공격하면서 “인지 과정은 뇌 안에!”라고 말하는 보수적인 ‘두개골내부주의’(intracranialism)를 옹호하는 것인 동시에 일반적으로 두개골외부주의나 두개골너머주의와 연계되고 있는 ‘연장된 마음’ 프로젝트의 근간에 대한 비판이라는 점에서 거기 도대체 일리가 있는지 검토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이 논문의 목표는 두 진영 간의 논쟁을 고찰하여 거기서 상이한 방식의 개념 적용 등으로 인한 일종의 말다툼에 해당하는 부분과 알짜 논쟁에 해당하는 몫을 구별하고, 알짜 부분에 대해서는 가능한 만큼의 판정을 내리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업은 연장된 마음에 대한 앞으로의 토론과 연구에서 우리가 무엇을 기대해야 할지를 가늠하게 하는 의미를 지닐 것이다. 필자는 이 논쟁의 무게중심이 “이 사람아, 그런 식으로 말하면 안 되지!” 류의 대립에 있다고 보며, 이처럼 일종의 프로그램 선전전에 해당하는 양편의 대립은 상당 부분 상식적인 절충을 통해 해소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 논쟁에는 그렇게 절충 가능한 강조의 차이 이외에도 어느 한편의 결함으로 지적할 만한 요소도 있고, 나아가 향후 인지 연구의 철학적 기반에 관한 어떤 불가피한 선택의 요구도 함축되어 있다.

영문 초록

목차

1. ‘연장된 마음’이라는 개념
2. ‘동등성 원리’ 대 ‘결합-구성 오류’
3. 클락-찰머스의 ‘연장’에 대한 비판
4. 평범하지만 합당한 절충안, 그리고 다시 남는 선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인석. (2012).마음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연장되어 있는가?:클락-찰머스 대 애덤스-아이자와 논쟁.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학술대회지, 2012 (3), 38-50

MLA

고인석. "마음은 어떻게 그리고 얼마나 연장되어 있는가?:클락-찰머스 대 애덤스-아이자와 논쟁."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학술대회지, 2012.3(2012): 38-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