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소년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383
- 영문명
- 발행기관
- 전국대학교학생상담센터협의회
- 저자명
- 김태희 이동혁
- 간행물 정보
- 『대학생활연구』제21권 제1호, 11~2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자살 보호요인들을 설명하여 줄 수 있는 ‘청소년용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The Reason for Living Inventory for Adolescents: 이하 RFL-A)를 번안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척도의 타당화를 위하여 먼저, 청소년용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를 한국어로 번안
하였다. 그리고 한국어로 번안된 청소년용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와 절망감, 자살행동, 낙관성을 측
정할 수 있는 척도들로 구성된 설문지를 구성하여 서울지역에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이나 상담센터와 병원에서 상담 및 치료를 받고 있는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구체
적으로, 임의 선정한 5곳의 학교와 3곳의 상담소 및 병원을 통하여 560부의 설문지를 회수하였고, 회
수된 설문지 중 불성실하다고 판단되는 100부를 제외한 총 460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한국어로 번안된 청소년용 자살하지 않는 이유 척도의 요인구조는 원 척도의 요인구조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준거 타당도를 알아본 결과, RFL-A의 하위척도인 가족동맹은 관련척
도의 하위요인 중 절망감과 자살행동과 부적상관이 있었고, 미래 낙관성과는 매우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RFL-A의 하위척도인 자기수용은 절망감과는 매우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고, 낙관성과는
매우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그리고 RFL-A의 하위척도인 동료수용 및 지지는 절망감과 부적상관
이 있고, 낙관성은 매우 높은 정적상관이 있었다. 또한 RFL-A의 하위척도인 미래 낙관성은 절망감과
는 매우 높은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낙관성과는 매우 높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 '청소
년용 자살하지 않는 이유’(RFL-A)척도는 예상대로 절망감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RFL-A척도 연구결과가 보다 실증적인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연구 대상 표집을 확장한 후속 연
구들이 계속 이어져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방법
Ⅱ. 연구결과
Ⅲ. 논의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구원자 각본을 가진 20대 여성의 전화상담 사례연구: 교류분석(TA)상담기법을 중심으로
-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이 서비스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암환자의 죽음 불안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