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엔군 참전·정전협정 체결 기념의 타당성
이용수 186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보훈학회
- 저자명
- 제성호
- 간행물 정보
- 『한국보훈논총』제13권 제1호, 7~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3.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엔군 참전 및 정전협정 체결 기념의 타당성을 법적으로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6.25전쟁 자체를 기념하던 종전의 인식에서 벗어나
6.25전쟁에 참전한 유엔군과 유엔군 주도로 체결된 정전협정을 분석의 틀로 설정하였
다. 그리고 정전협정이 갖는 의미와 분단체제 및 통일과정에서 담당하는 역할을 국제
법적 및 국제정치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우
리나라는 6.25전쟁의 의미만을 강조하였고, 1953년 7윌 27일 정전협정이 체결일은 기
념하지 않았으나, 이 같은 관행은 현재의 한반도 안보환경에 비추어 재검토를 요구한
다. ②7.27 정전협정 체결일은 유엔군의 지원 하에 한국이 ‘공산군을 격퇴한 날’이자
북한의 공산화 기도를 저지한 ‘자유수호의 날’이며, ‘굳건한 한반도 평화의 토대를 마
련한 시발점’이란 역사적 · 상징적 의미를 갖는다. ③ 정전협정은 지금도 남북한 등 전
쟁 당사자들을 법적으로 구속하는 군사조약으로 기능하고 있으며, 향후 평화체제로의
전환 · 구축을 위한 기초가 될 수 있다. ④ 정전협정 집행책임을 지고 있는 유엔군사
령부는 통일과정에서 적지 않은 긍정적 역할도 기대된다. ⑤ 정부는 7.27 기념행사의
내실 있는 개최를 통해 유엔 참전국의 지원, 참전용사들의 수고와 희생을 기리고 감
사하는 동시에, 자라나는 우리 젊은 세대들에게 정전협정의 의미와 역할을 올바로 깨
닫게 함은 물론, 국가정체성에 대한 확고한 의식을 함양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7.27 기념행사의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언
Ⅱ. 분석 틀
Ⅲ. 6.25전쟁 유엔군 참전의 근거와 법적 성격
Ⅳ. 6.25전쟁·정전협정, 남북통일과 유엔사의 역할
Ⅴ. 7.27 정전협정 체결일 기념의 당위성과 기념행사 추진방안
Ⅵ.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BEST
- 간호대학생의 정신질환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편견 - 정신간호실습 전ㆍ후 비교
-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정보 취득 어려움과 관련된 요인
- 지방 종합병원 밀레니얼 세대 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
사회과학 > 사회학분야 NEW
- 지역사회학 제26권 제1호 목차
- 희망과 존재 의미의 개인적, 사회적 조건: 아시아 3개국 비교를 중심으로
- 주택 재산권 보유 여부가 주거만족도와 주거선호에 미치는 영향: 신혼부부 가구를 대상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