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반야심경』과 止觀명상

이용수  203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불교상담학회
저자명
강미자
간행물 정보
『불교상담학연구』한국불교상담학회지 제3권 제1호, 37~56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종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11.0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반야심경의 觀명상(통찰명상)은 반야심경의 핵심사상인 空性을 관하는 것이다. 공성을 관하는 데 있어서 오온, 18계, 사성제라는 항목을 정한 것은 두 권의 일본책인 奧野誠也의『1日10分 般若心經冥想法』과 棟山靖雄의『般若心經冥想法』3)를 참고하였다. 한편 空性에 관한 내용은 본인이 불교명상프로그램4)에 참여해서 명상 한 결과를 엮은 것이다. 부처님의 가르침이 녹아있 는 명상을 통해 마음의 변화를 경험하면서, 또 존재와 관계와 세상에 대해 바라보는 견해의 변 화를 지켜보면서, 불교가 심리치료적인 요소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나름대로의 결론을 가지게 되었다. 결국 반야심경 止명상과 觀명상은 정혜쌍수(定慧雙修)의 효과를 거둘 수 있는 기제가 될 수 있 으며, 심리치료적인 효과까지도 거둘 수 있다는 점에서 작성된 것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언
Ⅱ. 반야심경 空사상의 성립배경과 사상사적 위치
Ⅲ. 반야심경과 止명상
Ⅳ. 반야심경과 觀명상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미자. (2011).『반야심경』과 止觀명상. 불교상담학연구, 3 (1), 37-56

MLA

강미자. "『반야심경』과 止觀명상." 불교상담학연구, 3.1(2011): 37-5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