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집단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288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성희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for Music Therapy』제6권 제2호, 30~45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음악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삶의 질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1시에 소재한 정신보건센터의 주간재활프로그램에 참여하는 만성정신분열병환자 8명(남자 6명, 여자2명) 으로 연령은 25세 이상 55세 이하이며, 학력은 중졸이상으로 언어적 의사소통이 가능한 자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집단은 주 1회 50분으로 총 14회기 집단음악치료를 실시하였고, 삶의 질 척도 (Index of Well-being)와 자아존중감 척도(Self Exteem Csale)를 사전-사후에 측정하여 음악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첫째, '음악치료에 참여한 정신분열병환자들이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삶의 질이 의미 있게 향상될 것이다'라는 가설 1은 지지되었다. 이 삶의 질을 하위요인별로 분석하였을 떄, 감정상태 요인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의미 있게 향상되었으나 생활만족도 요인은 의미 있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쨰, '음악치료에 참여한 정신분열병환자들이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자아존중감이 의미 있게 향상될 것이다 '라는 가설 2는 지지되지 못하였다. 이는 음악치료가 정신분열환자의 감정상태를 유쾌하게 만드는 데 효과가 있으나 자기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물론 본 연구는 비교집단이없고, 연구의 참여자들이 약물복용을 하고 있어 결과의 일반화와 내적 타당도에 한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다면 정신분열병환자들의 음악치료 효과를 밝혀주는데 유용한 토대연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목차
Ⅰ.연구방법
Ⅱ.결과
Ⅲ.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