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도르노의 사회비판적 음악교육론으로 본 음악치료학의 철학적 시론
이용수 114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송진범 Ph.D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for Music Therapy』제6권 제2호, 64~7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제2차 세계대전을 겪으면서 독일 프랑크푸르트 대학의 사회 철학교수인 아도르노(Theoder Wiessengrund Adorno:1903-1969)와 그의 오랜 동료인 호르크하이머(Max Horkheimer:1892-1940)는 현대사회가 「인간성의 황폐화 」와 「이성의 도구화」로 대변되는 급격한 의식의 변화를 통해 인간세계를 멸망의 벼랑으로 몰고 갔다고 주장하면서 세계 도처에서 일어나는 전쟁의 비인간성을 지적한다.
1930년대 아도르노와 호르크하이머를 중심으로 결성된 Frankfurt 학파의 사회비판이론은 오늘날 고도로 산업화된 물질문명의 병폐와 인간성 상실에 대한 중요한 시사점을 주고 있으며 현대 교육철학에도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들 Frankfurt 학파의 중심인물이었던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는 대학 내에 사회연구소를 설립하여 당시의 사회적 쟁점들에 대해 학제적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그들은 선전 선동술과 대중문화가 개인들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 보려했으며, 사회적 전체성 내에서 보여지는 여러 경향들이 사회적 삶의 개인적인 영역 내에서 얼마나 강력하게 드러나는지를 파악해 보고자 했다. 당시 Franfurt 학파는 아도르노를 중심으로 한 「사회비판적 음악교육론」과 하버마스(JOrgen Habermas:1929-)의 「의사소통」즉 「담론을 통한 이성의 회복」호르크하이머의 「철학의 사회비판적 기능의 회복」마르쿠제(Herbert Marcuse:1898-)의 혁명을 통한 사회체제의 변혁 은 방법에 잇어 각 차이점을 보이고 있지만 결국, 이들은 이성의 회복 이라는 명제를 궁극적인 공통의 이상으로 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도르노에 의하면 실증주의에 근거한 근대 합리주의는 인간을 과학적 통제에 예속시켰다는 것이다. 즉, 실증주의적 근대 합리주의는 인간을 객체화하였다고 말한다. 인간의 객체화는 인간을 객관적 대상으로만 인식하게 됨으로서 자아상실 또는 자기동일성의 상실을 실현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현대사회는 자기동일성 상실의 시대라고 말한다. 특히 아도르노에 의하면 '실증주의적 합리주의는 기술적 이성과 형식적 합리성을 통해서 이간은 자기 동일성을 상실하고 인간자신을 과학적 기술적 이성과 형식적 합리성이 지배하는 관리체제에 예속시켰다. 고 한다 .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정체성 또는 자아의 동일성을 상실하고 오직 형식주의와 획일주의에 의해 지배되는 존재가 되고 있으며 인간으로서의 기본
영문 초록
목차
Ⅰ.서론
Ⅱ.아도르노의 사회비판적 음악교육론과 음악치료학의 철학적 기초
Ⅲ.요약및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을 활용한 대중음악 창작교육 방안 연구 - ChatGPT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대중음악 통권 35호 목차
- 세대에 따른 팬덤의 특징 및 활동 양상 연구 - 임영웅의 영웅시대와 BTS의 아미를 중심으로
- 임영웅 보도의 감성 코드 분석 - 팬덤, 언론, 대중문화의 교차점에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