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음악치료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도 조사 : 서울, 경기(수도권)지역을 중심으로
이용수 150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류은혜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for Music Therapy』제6권 제1호, 18~58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음악 치료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전문 음악 치료사를 통해 체계적인 음악치료를 실시하는 의료기관이 부족한 것이 우리나라의 실정이다. 이에 우리나라 전문 의학의 한 분야로 자리 잡은 음악치료의 전문성 확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인 대학생들이 미래사회의 주역으로서 잠재적 수요자로 평가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그들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도 조사는 중요하다 하겠다. 본 연구는 앞으로 음악치료를 전공으로 하여 대학원으로 진학할 가능성이 있는 음악계열의 대학생, 대학 졸업 후 함께 근무하게 될 의약계열의 대학생과 그리고 음악치료와 직접적인 관련이 적은 일반계열의 대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치료에 대한 인지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조사함으로써, 음악치료에 대한 태도 및 행동양상을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의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우는 데 필요한 기초 자료로서 음악치료의 확립, 각종 학술연구, 정책개발, 프로그램 개발 등에 중요한 자료로 제공하는 것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영문 초록
목차
Ⅰ. 한국의 음악치료 실태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Ⅰ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