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통음악활동의 음악치료 적용을 위한 기능별 비교연구
이용수 114
- 영문명
- 발행기관
- 대한음악치료학회
- 저자명
- 김진경
- 간행물 정보
- 『Korean Journal for Music Therapy』제6권 제1호, 93~1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음악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1.0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대역사 이래 현재까지 전승되어온 우리나라의 전통음악활동들 속에서 음악치료의 개념과 상통하는 자원들을 찾아 각 음악활동의 특성과 음악치료적 기능을 정리하여, 한국인의 정서에 적합한 음악치료 임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고대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우리나라 전통음악활동으로는 민요나 잡가․무악․제례악․농악․시나위․산조․시조․가곡․가사․판소리․병창․무용음악․탈춤 등 무수히 많지만, 어떤 개인이 창작하거나 누린 것이 아니라 민족이 집단적으로 만들어내고 향유해 가장 서민적인 단합생활의 모형으로써 그 안에 역동성과 심리치료 요소를 담고 있는 두 가지 영역인 탈춤과 사물놀이를 본 연구의 주 대상으로 삼았다.
연구를 위하여 탈춤 및 사물놀이와 관련된 다방면의 선행연구와 도서, 음악치료와 탈춤의 비교연구에서는 음악치료에 있어 음악에 대한 심리적 반응, 신체적 반응, 사회적 반응에 부합하는 탈춤의 역할과 기능들을 요소별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연구대상
Ⅱ. 연구방법
Ⅲ. 연구방법
Ⅳ. 결 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BEST
- 방탄소년단과 블랙핑크의 노랫말 속 사랑의 의미
- 미국 미디어업계와 방탄소년단(BTS)의 상관관계 연구: 빌보드차트의 미디어그룹 체인을 중심으로
- AI 음악생성기(Music Generator)의 음악작품 분석 및 음악교육적 시사점 고찰
예술체육 > 음악학분야 NEW
- 교육과정 속 음악, 현장의 목소리를 담다
- 외국의 초등 저학년 음악 관련 교육과정 및 교과서 내 창작 내용 분석 - 미국, 독일, 영국, 일본을 중심으로 -
- 2022 개정 중⋅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에서 AI 창작활동의 음악 개념 적용 범위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