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진단과 재설계방안 탐색

이용수  300

영문명
발행기관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저자명
주철안
간행물 정보
『교육혁신연구』제26권 제1호, 1~19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6.04.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를 진단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재설계 방안을 탐색 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해방이후 한국교육의 진단과 해법에 대한 주요 선행 연구내용을 검토하였 다.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를 분석하기 위한 기준으로 정부의 주요 교육정책, 교육정책의 주요 이념, 교육정책의 체제 및 정책과정, 학교제도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사회의 개념과 사회 환 경의 변화에 따른 미래교육의 모습에 대한 논의를 기초로 지속가능한 한국사회를 위해 탐색된 재설 계 방안으로서 첫째, 교육적 문제의 핵심적 쟁점으로 부각되는 주요 교육이념의 재개념화 작업이 필 요하다. 둘째, 교육실제를 실질적으로 이끌어가는 교육목표로서 인성교육, 자주적인 생활능력의 함양, 민주시민교육, 생태교육의 강화 등이 제시되었다. 셋째, 교육정책체제 및 과정에서는 건강한 교육정책 생태계의 형성, 학교의 학습네트워크화, 학교급간의 연계, 교육정책 수립 및 집행과정에서의 중앙정부 부처간 그리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협력적 거버넌스, 국가교육위원회(가칭)의 설치 등이 제안되었 다. 넷째, 교육제도의 재설계로서는 학력경쟁 위주의 교육풍토 개선 및 건강한 교육열 생태환경 조성, 유아교육과 보육체계의 통합, 정규학교 밖의 학생을 위한 교육서비스 방안 등이 지적되었다.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교육의 진단과 해법
Ⅲ. 한국교육의 정책 및 제도의 주요 특징
Ⅳ.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재설계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주철안. (2016).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진단과 재설계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26 (1), 1-19

MLA

주철안. "해방 이후 한국 교육정책 및 제도의 진단과 재설계방안 탐색." 교육혁신연구, 26.1(2016): 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